print

고금리에 “빚부터 줄이자”…2월 가계대출 ‘2.7조’ 감소

한은 ‘2023년 2월중 금융시장 동향’ 발표
가계대출 1~2월 총 7.4조원 급감
“높은 금리, 대출 규제, 부동산 시장 침체 등 영향”

서울 시내의 한 은행 대출금리 안내 현수막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은행권 가계대출이 2월에 2조7000억원 감소하며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줄었다. 고금리에 대출 상환이 이어지고 있고, 부동산 경기 침체에 신규 대출 수요도 축소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3년 2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7000억원 감소한 105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1월에는 4조7000억원 줄며, 한은의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바 있다. 

한은에 따르면 1~2월 동안 줄어든 가계대출은 총 7조4000억원이다. 지난해 전체 감소 규모인 6000억원과 비교해 대출 감소세가 강한 모습이다. 

대출별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월에 2조4000억원 줄었고, 주택담보대출은 3000억원 감소했다. 

한은은 “높은 대출금리, 차주 단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했다”며 “다만 전월에 상여금 유입 등 계절요인이 해소되며 감소 규모는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은행 가계대출 추이. [제공 한국은행]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을 보면 2월에 9000호로 전월의 1만호보다 감소했고, 지난해 12월의 4만5000호보다 크게 줄었다. 

가계대출과 함께 기업대출 증가세도 약해지고 있다. 은행권 기업대출은 2월에 5조2000억원 증가하며 전월의 7조9000억원 증가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대출별로 대기업 대출이 9000억원 늘고, 중소기업 대출이 4조3000억원 증가했다. 

한은은 “대기업 대출의 경우 회사채 발행 확대 등에 따라 대출 수요가 둔화됐다”며  “중소기업 대출은 일부 은행들의 대출 확대 노력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은행으로의 자금 유입은 다시 확대됐다. 2월 은행의 수시입출식예금은 기업 결제성자금 및 기타금융기관 자금이 유입되면서 21조4000억원 증가했다. 정기예금은 예금금리 하락 등에 따른 기업·가계자금 인출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 자금이 유입되면서 2조4000억원 늘었다.

1월에는 수시입출식예금이 59조5000억원, 정기예금이 9000억원 각각 감소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혼다코리아, ‘더 고 패밀리 시네마 데이’ 개최

2암투병 이겨낸 YB 윤도현, 유독 힘이 많이 된 '이것'

3“아이 낳으면 최대 1억원”…크래프톤, 파격 출산장려금 지급

4“응원팀 우승 시 최고 금리 7%”…하나은행, ‘K리그 우승적금’ 출시

5‘야구 훈련장’에 정의선 회장이...“승부도 중요,건강은 최우선”

6원빈, 故김새론 빈소 찾았다….침통한 분위기 속 발길

7얼죽신 열풍에 이런 일도...고액 부동산 탈세 156명 세무조사

8제이엘케이, 비조영 CT 뇌졸중 AI 솔루션 日 허가

9보람컨벤션, ‘제3회 웨딩초대전’ 성황리 종료

실시간 뉴스

1혼다코리아, ‘더 고 패밀리 시네마 데이’ 개최

2암투병 이겨낸 YB 윤도현, 유독 힘이 많이 된 '이것'

3“아이 낳으면 최대 1억원”…크래프톤, 파격 출산장려금 지급

4“응원팀 우승 시 최고 금리 7%”…하나은행, ‘K리그 우승적금’ 출시

5‘야구 훈련장’에 정의선 회장이...“승부도 중요,건강은 최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