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번에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플랫폼, 5월 나온다

53개 금융사·23개 비교대출 플랫폼 참여
올해 12월 중 주택담보대출 인프라도 구축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금융소비자가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5월 중 출시된다. 신용대출 상품 대환부터 개시될 예정이지만, 향후 주택담보대출까지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9일 “금융회사 간 상환절차를 금융결제원 망을 통해 중계하고 전산화하는 대출이동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5월 개시 예정인 대환대출 플랫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은 개인 신용대출이다. 53개 금융회사, 23개 비교대출 플랫폼이 참여한다. 은행 전체(19개), 비은행권 주요 금융회사(저축은행 18개, 카드 7개, 캐피탈 9개)의 신용대출을 다른 대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체 신용대출 시장의 90% 이상에 해당한다.

금융위는 “핀테크, 빅테크, 금융회사 등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해 이용 편의와 접근성 제고를 위한 경쟁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금융위는 사업자 간 경쟁으로 금융 소비자가 플랫폼에 지급하는 수수료도 합리적으로 결정돼 금융소비자 부담을 낮출 것으로 예상했다. 가령 A 플랫폼에서는 저축은행 신용대출 중개수수료 최고수준이 2.0%에서1.0%로 인하되며, B 플랫폼의 경우 은행 대비 저축은행 중개수수료 최고수준이 1.7배에서 1.3배로 조정된다.

금융위는 “금융업권‧금융상품별 수수료율을 구체적으로 공시하도록 해 금융소비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금융소비자는 플랫폼을 통해 중도상환수수료와 상환 가능 여부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플랫폼에서 기존 대출의 일부 정보(원리금 등)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대출 규모가 큰 주택담보대출의 간편한 대출 이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연내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은 지난 1월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1053조4000억원) 중 약 76%(798조8000억원)일 정도로 국민 대다수가 이용 중이다.

다만, 주택담보대출의 대환대출은 금융결제원 시스템을 통해 전산화가 가능한 대출금 상환 외에도 등기 이전이 필요하므로 금융회사 간 모든 절차를 온라인으로 구현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금융위는 “금융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주담대 상품을 비교하고 대환대출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를 우선 구축하는 등 소비자 편의를 최대한 개선할 수 있는 추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주담대 대환대출 가능 일정으로 12월을 잠정 결정했으며, 금융권과 시일 내 구축계획을 협의할 계획이다.

대한대출 인프라 구축 개요. [제공 금융위원회]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등골브레이커’된 초등 책가방…가성비 제품 뜬다

2"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3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4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5“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6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7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8“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9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실시간 뉴스

1‘등골브레이커’된 초등 책가방…가성비 제품 뜬다

2"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3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4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5“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