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리오프닝 효과 나타나”…韓 낙수효과 볼까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中 리오프닝 동향 조사
“중국 경제활동이 점차 정상화”
“소비와 인프라투자 중심 회복 전망”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중국이 코로나 펜데믹 이후 경제 재개(리오프닝)를 하면서 점차 경제활동이 정상화되고 있다. 소비가 살아나고 부동산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가격 회복 조짐이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은 19일 ‘해외경제포커스’를 발표하며 “중국 소비가 리오프닝에 따른 경제활동 정상화의 영향으로 서비스를 중심으로 부진이 완화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면 활동과 연관이 높은 외식 서비스, 화장품, 의류 등의 소비가 자동차, 통신장비 등 여타 소비와 차별화 되면서 개선세를 보였다.
한은에 따르면 중국의 소매판매는 지난해 4분기 중 감염병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지속했는데 올해 들어 1~2월 중 3.5% 증가로 전환했다.
아울러 인프라와 제조업 투자가 지난해에 이어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부동산투자 부진에도 불구하고 고정자산투자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방정부특별채권(LGSB:Local Government Special Bond) 발행 증가, 기업 중장기대출 장려 등 중국 정부의 지원 확대에 주로 기인했다.
한은은 “지난해 이후 인프라투자 자금 중 정부를 통해 조달한 금액이 큰 폭 증가했다”며 “하이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신규 중장기 대출 규모도 크게 확대된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 수출은 리오프닝 이후 공급망 제약이 일부 완화되면서 지난해 11~12월에 비해 감소 폭이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부진을 지속했다. 휴대폰이 생산 차질 해소 등으로 회복됐지만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고, 섬유·의복, 가구 등의 소비재 수출도 감소했다.
수입은 감소폭이 확대됐다. 반도체 등 IT 중간재와 자본재 수입이 크게 줄고 화장품, 플라스틱 등도 감소해 리오프닝 효과가 아직 수입 수요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11월 종합부양책 도입 및 리오프닝 효과 등으로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가격이 회복 조짐을 보였다. 다만 부동산투자 및 판매 등 여타 주요 지표는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지속했다.
한은은 향후 중국 경제도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추가 저축 규모가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청년실업률이 높은 점 등은 소비를 제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인프라 및 제조업 투자가 당분간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중국 정부는 최근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2023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전년의 5.5% 내외보다 낮은 5% 내외로 설정했다”며 “이는 높아진 대외 불확실성과 정부부채 관련 우려 등을 반영한 보수적인 목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은행은 19일 ‘해외경제포커스’를 발표하며 “중국 소비가 리오프닝에 따른 경제활동 정상화의 영향으로 서비스를 중심으로 부진이 완화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면 활동과 연관이 높은 외식 서비스, 화장품, 의류 등의 소비가 자동차, 통신장비 등 여타 소비와 차별화 되면서 개선세를 보였다.
한은에 따르면 중국의 소매판매는 지난해 4분기 중 감염병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지속했는데 올해 들어 1~2월 중 3.5% 증가로 전환했다.
아울러 인프라와 제조업 투자가 지난해에 이어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부동산투자 부진에도 불구하고 고정자산투자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방정부특별채권(LGSB:Local Government Special Bond) 발행 증가, 기업 중장기대출 장려 등 중국 정부의 지원 확대에 주로 기인했다.
한은은 “지난해 이후 인프라투자 자금 중 정부를 통해 조달한 금액이 큰 폭 증가했다”며 “하이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신규 중장기 대출 규모도 크게 확대된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 수출은 리오프닝 이후 공급망 제약이 일부 완화되면서 지난해 11~12월에 비해 감소 폭이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부진을 지속했다. 휴대폰이 생산 차질 해소 등으로 회복됐지만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고, 섬유·의복, 가구 등의 소비재 수출도 감소했다.
수입은 감소폭이 확대됐다. 반도체 등 IT 중간재와 자본재 수입이 크게 줄고 화장품, 플라스틱 등도 감소해 리오프닝 효과가 아직 수입 수요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11월 종합부양책 도입 및 리오프닝 효과 등으로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가격이 회복 조짐을 보였다. 다만 부동산투자 및 판매 등 여타 주요 지표는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지속했다.
16개월 연속 전월 대비 하락한 중국 신규주택 가격은 올해 1월 중 처음으로 증가로 전환되는 등 1·2선 도시를 중심으로 가격·판매량이 회복세를 나타냈다. 다만 3선 도시의 경우 아직까지 가격·판매·투자 등 모든 지표가 반등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중국은 부동산 통계 작성을 위해 편의상 중국 내 대표 도시 70개를 선정해 인구 등 규모에 따라 1~5선 도시로 분류한다.
한은은 향후 중국 경제도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추가 저축 규모가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청년실업률이 높은 점 등은 소비를 제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인프라 및 제조업 투자가 당분간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중국 정부는 최근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2023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전년의 5.5% 내외보다 낮은 5% 내외로 설정했다”며 “이는 높아진 대외 불확실성과 정부부채 관련 우려 등을 반영한 보수적인 목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