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비율10배 올리라는 美, 현대차·기아 따라갈 수 있을까
현대차·기아 지난해 미국서 전기차 6만여대 판매
최근 추세면 9년 뒤 전기차 100만대 생산해야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미국 정부가 전기차 전환 정책에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자동차 회사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미 정부가 지난해 자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만 최대 7500달러(약 1000만원)가량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발표한 데 이어 최근에는 신차의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는 정책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신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 정책은 자동차 회사별로 미국 내에서 판매하는 차량이 1마일(약1.6㎞) 주행할 때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질소산화물·미세먼지 등의 평균 배출량을 줄이라는 내용을 담고있다. 2026년 기준 186g에서 2032년 82g까지 56% 줄이도록 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 마이클 리건(Regan) 청장은 12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을 발표하며 “(새 배출가스 규제로) 2032년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차 3대 중 2대는 전기차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차를 팔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미국에 전기차 생산라인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현대차‧기아의 경우 이 정책을 따라가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판매한 자동차는 약 150만대 수준이지만, 이 가운데 전기차는 5만8000여대(3.9%)로 알려졌다.
만약 2032년까지 현대차그룹이 지금 같은 수준으로 자동차를 판매한다고 가정하면 전기차를 100만대가량 팔아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전기차 생산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약 30만대 정도로 알려져 있다. 최근 기아가 2030년까지 24조원을 투자해 국내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151만대로 늘리고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도 364만대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IRA가 장벽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한 전기차에 세액공제 등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 정책에 따르면 국내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전기차는 세제 혜택을 보기 어렵다. 올해부터 렌트·리스 등 상업용차는 친환경차 세액공제를 적용받지만, 비중을 늘리기 쉽지 않다는 해석도 있다. 이 경우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이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전기차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다만 이런 어려움은 현대차‧기아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어 우리 기업에는 다행한 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 정부가 정한 기한이 짧아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더 많은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해 공장과 조립라인을 개조하는 중이지만, 시간과 도움이 필요하다”고 최근 보도했다. NYT는 “자동차 업체 입장에서 심각한 도전이 될 것”이라며 “모든 주요 자동차 기업이 전기차 생산 설비에 투자했지만, 이 같은 규모에 부합할 수 있는 업체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전기차만 생산하는 테슬라 같은 회사만 이 규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데,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미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기업도 목표를 달성하는 게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책의 수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11일 경기 화성 오토랜드 화성에서 전기차 전용 공장의 기공식을 열고 2030년까지 8년간 국내 전기차 분야에 24조원을 투자해 국내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151만대로 늘리고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도 364만대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국내 전기차 연구개발, 생산, 인프라 등 전후방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아, ‘The 2025 K5’ 출시…가격 2766만원 부터
2 尹 대통령, 오는 7일 대국민 담화·기자회견
3한데 모인 ‘삼성전자 역사’...합격 통지서부터 식권까지 각양각색
4 ‘강남 8중 추돌 사고’ 무면허 운전자 구속
510번째 논의에도 ‘합의 불발’...배달앱 상생협의체, 7일 추가 논의
6우크라 당국자 “北 파병 군인, 이미 러 쿠르스크서 공격 받았다”
7尹, 중앙아시아 5개국 만나…“北파병, 위험하고 전례 없는 일”
8‘북한강 시신 훼손’ 완전범죄 꿈꿨나...피의자 軍 장교, ‘피해자 행세’ 문자
9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해 “주주환원 높이고 공매도 재개 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