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테크 부문 등 경력직 ‘두 자릿수’ 채용
테크, 비즈니스, 리스크, 경영직군 등 6개 부문 직무
서류마감 이달 23일까지
출퇴근 유연근무제, 유급 자기계발휴가 지급 등 다양한 복리 시행

모집 분야는 ▲테크(Tech) ▲비즈니스 ▲사용자인터페이스·사용자경험(UI/UX) ▲리스크 ▲경영직군 ▲컴플라이언스(AML) 등 6개 부문 채용 규모는 두 자릿수이다.
세부적으로 테크 분야는 계정계 개발(여신/수신/고객), 채널 웹(여신/서비스) 개발, IT 전략기획/감사 등으로 나뉜다. 비즈니스 분야는 대출상품 기획(개인사업자/개인 대상 여신), 서비스 기획자, 브랜딩 등 30개 직무에서 모집한다.
서류접수 기간은 23일까지로 케이뱅크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 가능하다. 분야별 자격요건과 우대사항 등은 물론 케이뱅크의 일하는 방식, 직원 인터뷰, 복리후생 등에 대해 채용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케이뱅크 경력직 채용은 지원자의 직무 역량을 위주로 서류를 자유롭게 제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지원자는 자신을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을 작성하거나 별도 작성하지 않고 이력서와 경력기술서를 첨부해 제출할 수 있다. 혹은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Blog) 또는 깃허브(Github) 등 링크를 기재해도 된다.
채용 과정은 서류전형, 온라인 인성검사, 코딩테스트(Tech 직무 한정), 비대면 1~2차 면접 등으로 진행된다. 모든 과정은 5월 내에 완료될 예정이다.
케이뱅크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 ▲신속성(Speed) ▲소통(Openness) ▲즐거움(Fun) 4가지 키워드 중심의 조직문화를 만들고 있다. 모든 구성원을 케미(Kemi)라고 칭하는데 케이뱅크의 K와 친구를 뜻하는 프랑스어 ami를 합친 단어다.
일례로 은행장을 비롯한 모든 케미는 ‘님’으로 호칭하는 등 수평적인 소통 문화를 추구한다. 또한 출퇴근 유연근무제, 매년 유급 자기계발휴가 지급, 본인과 가족의 건강검진 및 의료비 지원 등 다양한 복리후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편, 케이뱅크는 지난해 12월 선발된 채용연계형 인턴사원이 3개월의 인턴 과정을 마치고 이달 초 정규직 전환돼 약 20명이 입사한 바 있다.
장민 케이뱅크 경영기획본부장은 “케이뱅크는 빠른 성장에 힘입어 포용과 혁신금융을 실천해오고 있다”며 “성장 잠재력이 있는 인터넷은행에서 금융인의 꿈과 비전을 펼칠 수 있는 많은 인재들이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2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
3 ‘창립 60주년’ 농심, 추억의 감자칩 다시 소환한다
4뉴욕증시, FOMC 의사록 여파에 강보합 마감
5“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6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7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8“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9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