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년 8개월 만에 최대폭 개선
주택가격전망은 5개월째 ↓

[자료 한국은행]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비상계엄 사태로 추락했던 소비심리가 정국 안정 기대감 등에 2개월 연속 상승했다. 다만 아직 계엄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주택가격전망은 11개월 만에 ‘100 이하’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5.2로 전월보다 4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 2021년 6월(5.4포인트) 이후 3년 8개월 만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라는 뜻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CCSI는 지난해 100선을 웃돌다가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88.2로 급락했다. 이후 올 1월(91.2), 2월(95.2) 들어 반등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계엄 직전인 지난해 11월(100.7) 수준은 회복하지 못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달 초 정부가 첨단산업 등에 대한 지원책을 발표했고, 정국안정 기대감이 작용하면서 지난해 12월 급락분을 상쇄하고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CCSI를 구성하는 항목 중 올 1월과 비교해 향후경기전망(73·8포인트 상승)이 크게 올랐다. 현재경기판단(55·4포인트 상승), 생활형편전망(93·4포인트 상승), 소비지물전망(106·3포인트 상승) 등도 올랐다. 
 
2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99로 전월 대비 2포인트 떨어져 지난해 3월(95) 이후로 11개월 만에 100선을 내줬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 전국 아파트 가격과 거래 건수가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지난해 9월 119로 2년 11개월 만에 최고점을 찍은뒤 다섯 달 연속 내렸다.
 
향후 1년간의 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7%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 3년 후 기대인플레이션, 5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과 동일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품목은 석유류제품(47.4%), 농축수산물(46.7%), 공공요금(46.3%)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6~13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