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유튜버·BJ 평균 연봉 2500만원…‘상위 1%’는 7억 벌었다
- 상위 1%가 수입 28% 독식
뒷광고·후원계좌 등으로 탈세 우려
양경숙 의원 “탈세 혐의자 검증해야”

7일 국세청이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 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4219명이었다. 2019년(2776명)과 비교하면 2년새 12.3배 급증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유튜버, 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이들을 말한다.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전체 수입은 8589억원으로 조사됐다. 인원 수로 계산한 1인 평균 연봉은 2500만원으로 2019년(3200만원)보다 700만원 줄었다.
상위 1%에 해당하는 342명의 연간 수입은 1인 평균 7억1300만원으로 조사됐다. 2019년 상위 1%(27명)의 평균 수입(6억7100만원)보다 6.3% 늘었다. 상위 1%의 총 수입은 2439억원으로 전체(8589억원)의 28%를 차지했다.
반면 수입 하위 50%(1만7110명)의 연평균 수입은 40만원에 그쳤다. 2019년(100만원)보다도 줄어들면서 상위 1%와 하위 50%의 격차가 확대됐다. 이는 수입을 신고한 1인 미디어 창작자 수가 늘어나면서 전체 평균 수입이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양경숙 의원은 이들의 수입 금액이 실제론 더 많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화면에 계좌번호를 공개해 후원을 받거나, 광고임을 알리지 않는 일명 ‘뒷광고’를 통해 돈을 받는 등 과세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다.
양 의원은 “매년 탈세를 하는 유튜버들이 다수 적발되고 있다”며 “과세당국은 탈세 혐의자들을 엄중하게 검증해 공정 과세 구현 및 세입예산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세청은 지난 2월 탈세가 의심되는 유튜버, 웹툰작가, 연예인, 운동선수 등에 대해 세무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재무장관 "韓과 협상 윤곽잡히고 있어..선거운동 의지 강해"(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JTBC, 장시원 PD 고소..저작권 싸움 '점입가경'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美재무장관 "韓과 협상 윤곽잡히고 있어..선거운동 의지 강해"(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외서는 투자 늘리는데…갈길 먼 국내 헤지펀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할로자임, MSD에 특허심판 이어 특허소송...알테오젠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