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전방수요 둔화에 재무부담 가중 [이코노 리포트]
부채비율 159.3%에서 248%로 껑충…빚 25조 돌파
차입금의존도 46.9%로 ‘위태’…“재무부담 당분간 지속”
한기평, 전날 LG디스플레이 신용등급 A로 하향 조정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건엄 기자] 천문학적인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LG디스플레이(034220)의 재무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부채 규모가 25조원을 돌파했고 차입금 의존도 역시 50%에 육박해 우려가 크다. 특히 매출 원가가 매출보다 높아 ‘팔면 팔수록 손해인 구조가 지속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올해 1분기 기준 부채는 총 26조1150억원으로 전년말(24조3670억원) 대비 7.2% 증가했다. 전년 동기(23조5100억원) 보다는 11.1% 늘어난 수치다. 반면 자본은 지난해 1분기 14조7570억원에서 올해 1분기 10조5290억원으로 28.7% 감소했다. 이에 따른 LG디스플레이의 부채비율은 159.3%에서 248%로 88.7%포인트 상승했다.
재무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차입금 의존도도 같은기간 34.4%에서 46.9% 급격히 올랐다. 차입금의존도는 회사가 발행한 사채와 유동성 장기차입금을 포함한 총차입금을 총자본으로 나눈 지표로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한다. 차입금의존도를 통해 부채 중에서도 실제 이자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차입금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통상 차입금 의존도가 30% 이하일 때 재무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점을 감안하면 LG디스플레이의 상황은 다소 위태롭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자를 지급해야하는 부채를 기업이 갖고 있는 현금으로 모두 갚았을 때 남는 차입금인 순차입금 비율은 101%에서 126%로 25%p 상승했다.
LG디스플레이의 재무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되면서 신용평가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실제 한국기업평가는 전날 대규모 영업적자와 차입부담 확대에 따른 재무지표 악화를 이유로 LG디스플레이의 신용등급을 기존 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이처럼 LG디스플레이의 재무상황이 급속도로 나빠진 것은 수익을 내지 못하는 매출구조 영향이 크다. 중국 업체들의 물량 공세로 사실상 마진이 남지 않는 액정표시장치(LCD)가 여전히 전체 매출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수익성 회복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이다.
실제 LG디스플레이의 올해 1분기 매출원가는 4조7940억원으로 매출(4조4110억원)을 뛰어넘었다. 즉 LG디스플레이는 4조4110억원의 매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3830억원의 손실을 입은 셈이다.
한기평 관계자는 “LCD사업 합리화 추진 및 제반 비용 감축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부정적 수급환경이 단기간 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주력인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의 경우 시장 수요 회복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단기간 내 유의미한 영업현금창출력 회복이 쉽지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경쟁환경을 감안할 때 중소형 OLED 사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소요가 불가피하나 자체재원 마련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자금소요 대부분을 금융기관, 계열사 및 고객사 등 외부차입에 의존함에 따라 당분간 과중한 재무부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시장에서는 LG디스플레이의 적자가 업황 악화와 전방수요 위축 등 등 외부 요인 영향이 큰 만큼 장기적으로는 회복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대형 OLED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발목을 잡고 있는 LCD 사업 역시 효율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매출 구조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재무 부담에 따른 위험도 역시 충분히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는 게 시장의 의견이다.
한기평은 "LG디스플레이의 가용 현금성자산(보유 3.5조원, 사용제한 제외시 2.1조원) 및 예상 EBITDA 창출력 대비 단기성차입금 규모 높은 수준"이라면서도 "LG그룹 주력계열사로서의 우량한 대외신인도, 상장사로서의 직접금융시장 조달능력, 금융기관 미사용약정, 담보제공 여력 등 감안시 유동성 대응능력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남은건 산타랠리"' 코스피, 연말 특수로 2700선 갈까
2'용산국제업무지구' 청사진 공개...초고층 빌딩·글로벌 기업 유치
3클라우드호스피탈, 글로벌 의료 서비스 혁신 이끌어
4STO 법제화 드라이브...증권가 시장 활성화 기대감 커진다
5변우석 업은 배스킨라빈스, X-마스 '케이크 전쟁' 승기 잡을까
6임지연, 씨스루에 두 팔 벌리며…"후회 없이 보여드릴 것"
7신한은행, 재외국민 위한 ‘신한인증서 발급 시범서비스’ 개시
8'금리 인하'에 소식에 은행 찾았지만...대출은 '첩첩산중'
9정병윤 리츠협회장 “국내 리츠 경쟁력 높이기 위한 과제 해결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