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국경제인협회’로 55년 만에 간판 바꾼다
정경유착 차단 위해 윤리경영위원회 설치
조사·연구 기능 강화해 싱크탱크형 단체로 탈바꿈
김병준 “시장과 시민사회 역할 커진 시대 됐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한국경제인협회’로 55년 만에 기관명을 바꾼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61년 전경련이 설립될 당시 사용했던 명칭이다.
전경련은 18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명칭 변경을 비롯해 권력의 부당한 압력 차단, 회장단 확대, 싱크탱크형 경제단체로의 전환 등을 골자로 한 혁신안을 발표했다.
먼저 전경련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전경련은 1961년 첫 출범 당시 한국경제인협회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회원사가 늘어 전국 규모 단체가 되자 1968년부터 현재 이름을 사용했다.
전경련은 명칭 변경은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국가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고 밝혔다.
아울러 정경유착을 차단하기 위해 윤리경영위원회를 설치한다. 위원회는 일정 금액 이상이 소요되는 대외사업 등이 회원사에 유무형으로 부담을 주는지 심의한다. 위원은 회원사만 아니라 각계각층에서 추천받은 이들로 구성할 예정이다.
현재 11개사(그룹)로 구성된 회장단도 포털 등 정보기술(IT)을 비롯한 신산업, 젊은 세대 등 다양한 분야와 계층을 아우르는 기업인들을 새로 영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업종별, 현안별로 회원사들이 주도적 역할을 할 각종 위원회도 구성할 예정이다.
특히 회원사들의 의견과 이해관계를 반영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 동반상생 등 업종·현안별 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 중심 각종 현안 관련 정책 건의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경련은 산하 경제·기업 연구기관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을 흡수 통합해 조사·연구 기능을 대폭 강화해 싱크탱크형 단체로 탈바꿈할 계획도 내놨다.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IRA와 같은 글로벌 이슈와 관련해 이들을 활용한 외주 연구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등 최근 기업들에 이슈가 된 사안에 대한 기업 활동을 지원하고, 한국판 ‘버핏과의 점심식사’ 성격인 ‘갓생한끼’와 같은 행사를 통해 시업인과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장도 마련할 계획이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과거 국가 주도 성장 시대를 지나 시장과 시민사회 역할이 커진 시대가 됐음에도 전경련이 그런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며 “정부와의 관계에 방점을 두고 회장·사무국 중심으로 운영됐던 과거 역할과 관행을 통렬히 반성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경련은 18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명칭 변경을 비롯해 권력의 부당한 압력 차단, 회장단 확대, 싱크탱크형 경제단체로의 전환 등을 골자로 한 혁신안을 발표했다.
먼저 전경련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전경련은 1961년 첫 출범 당시 한국경제인협회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회원사가 늘어 전국 규모 단체가 되자 1968년부터 현재 이름을 사용했다.
전경련은 명칭 변경은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국가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고 밝혔다.
아울러 정경유착을 차단하기 위해 윤리경영위원회를 설치한다. 위원회는 일정 금액 이상이 소요되는 대외사업 등이 회원사에 유무형으로 부담을 주는지 심의한다. 위원은 회원사만 아니라 각계각층에서 추천받은 이들로 구성할 예정이다.
현재 11개사(그룹)로 구성된 회장단도 포털 등 정보기술(IT)을 비롯한 신산업, 젊은 세대 등 다양한 분야와 계층을 아우르는 기업인들을 새로 영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업종별, 현안별로 회원사들이 주도적 역할을 할 각종 위원회도 구성할 예정이다.
특히 회원사들의 의견과 이해관계를 반영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 동반상생 등 업종·현안별 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 중심 각종 현안 관련 정책 건의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경련은 산하 경제·기업 연구기관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을 흡수 통합해 조사·연구 기능을 대폭 강화해 싱크탱크형 단체로 탈바꿈할 계획도 내놨다.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IRA와 같은 글로벌 이슈와 관련해 이들을 활용한 외주 연구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등 최근 기업들에 이슈가 된 사안에 대한 기업 활동을 지원하고, 한국판 ‘버핏과의 점심식사’ 성격인 ‘갓생한끼’와 같은 행사를 통해 시업인과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장도 마련할 계획이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과거 국가 주도 성장 시대를 지나 시장과 시민사회 역할이 커진 시대가 됐음에도 전경련이 그런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며 “정부와의 관계에 방점을 두고 회장·사무국 중심으로 운영됐던 과거 역할과 관행을 통렬히 반성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2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3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
4“‘元’ 하나 잘못 보고”…中 여성, ‘1박 5만원’ 제주도 숙소에 1100만원 냈다
5'40세' 솔비, 결정사서 들은 말 충격 "2세 생각은…"
6"나 말고 딴 남자를"…前 여친 갈비뼈 부러뜨려
7다채로운 신작 출시로 반등 노리는 카카오게임즈
8"강제로 입맞춤" 신인 걸그룹 멤버에 대표가 성추행
9‘찬 바람 불면 배당주’라던데…배당수익률 가장 높을 기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