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층 "우리 아직 일할 수 있어요"
통계청 조사 결과, 고령층 60% 근로 희망
'생활비 보탬'이 이유...고령자 51% '상대적 빈곤' 느껴

통계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 분석 자료를 16일 발표했다.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75세 이상 가구의 비율은 2021년 기준 63.8%였다. 65~74세 가구 중에서는 59.3%가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10명 중 6명은 생활비에 비해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셈이다.
또 지난해 기준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고령자는 59.6%였다. 75~79세 고령자 중에서는 39.4%가 근로를 희망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65~74세는 11.9%p, 75~79세는 11.8%p 늘었다.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65~74세와 75~79세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65~74세의 해당 비율은 53.9%, 75~79세는 50.5%였다.
2021년 기준 7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51.4%였다. 66~75세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30.5%로 76세 이상 고령자보다 낮았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한 인구 비율을 말한다.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하’라고 생각하는 65~74세 노인 비율은 46.8%로 10년 전인 2011년(57.3%)보다 낮아졌다. 75세 이상 노인 중에서는 59.0%가 ‘하’라고 생각했다. 역시 10년 전보다 6.1%포인트 낮아졌다.
한편 갈수록 국내 인구 고령화 현상은 더 심해질 전망이다. 2037년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6.0%로 65~74세 비중(15.9%)을 웃돌 전망이다. 이후 2070년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30.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0명 중 3명꼴이다.
이는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 폴란드(22.6%) 미국(16.0%) 등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2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32월 '트리플 증가'에도 웃지 못한 韓 경제, 왜?
4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종가 1472.9원
5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
6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7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8“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9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