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양지을 대표 사임’ 티빙, 신임 대표에 최주희 전 트렌비 CBO 선임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에 김지원 전 매스프레소 최고운영책임자 선임
“IT 스타트업 인재 영입으로 플랫폼 사업 본격 혁신할 것”

최주희 티빙 신임 대표이사. [사진 CJ ENM]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티빙의 리더십이 교체됐다. CJ ENM에서 티빙이 독립법인으로 2020년 10월 출범한 후 줄곧 회사를 이끌던 양지을 대표는 사임했다. 티빙은 새 수장으로 최주희 전 트렌비 비즈니스 총괄 대표를 맞이했다. CJ ENM은 이와 함께 CJ ENM 엠넷플러스(Mnet Plus) 사업부장에 김지원 전 매스프레소 최고운영책임자를 선임했다. 엠넷플러스는 지난해 CJ ENM이 론칭한 K팝 컬처 플랫폼이다.

CJ ENM은 이 같은 인사를 29일 발표했다. 회사 측은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해 IT 스타트업 인재를 잇달아 영입하며 플랫폼 사업 본격 혁신에 나선다”고 전했다.

최 티빙 신임 대표는 이로써 국내 OTT 업계 최초의 여성 최고경영자(CEO)가 됐다. 최 대표는 콘텐츠 및 이커머스 기업에서 비즈니스 전략을 이끌어 온 플랫폼 사업 전문가로 꼽힌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을 거쳐 월트 디즈니 코리아에서 아시아 및 한국 사업 전략을 맡은 바 있다. OTT 디즈니플러스(+)의 국내 출시 준비를 담당했다. 온라인 패션 플랫폼 ‘W컨셉’의 최고전략책임자(CSO)와 명품 이커머스 플랫폼 ‘트렌비’의 비즈니스 총괄 대표로 전략·세일즈·마케팅·IT 등 사업 전반을 총괄했다.
김지원 CJ ENM 엠넷플러스 사업부장. [사진 CJ ENM]

김 엠넷플러스 사업부장(경영리더)은 삼성전자·LG전자·엔씨소프트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을 거쳐 스타트업·외국계 IT 기업에서 일하며 전문성을 쌓았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글로벌 머신러닝기반 테크기업 ‘몰로코’(Moloco) 한국사업총괄 및 수석제품책임자를 거쳐,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반 학습 플랫폼 ‘콴다’의 개발사 ‘매스프레소’ 최고제품책임자(CPO) 및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지냈다. CJ ENM은 김 경영리더가 서비스 고도화·수익 모델 구축 등에서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

CJ ENM 측은 “다수의 스타트업과 IT 기업의 성장을 견인해 온 두 1980년대생 여성 리더의 영입이 회사의 미래 사업인 D2C 플랫폼 사업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2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3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4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5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6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7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8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9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실시간 뉴스

1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2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3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4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5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