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50대 부모, 자녀 학원비 월평균 ‘57만원’…실제는 100만원 ‘훌쩍’

40대 49만원·30대 36만원…7월이 가장 결제액 많아
“성인 평균 카드 보유 4장…실학원비는 200만 달할 수도”

지난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킬러문항’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부모들이 자녀 학원비로 월평균 최대 57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삼성금융네트워크 모니모에 따르면 삼성카드가 30~50대 자사 회원의 지난해 입시 및 보습학원 월평균 결제액을 조사해보니 50대가 5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가 월평균 49만원, 30대가 36만원 순이었다.

삼성카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녀 교육에 투자하는 금액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입시 및 보습학원의 월평균 결제액이 가장 많은 달은 7월로 전체의 14.3%를 차지했다. 8월과 12월은 월평균 결제액이 각각 전체의 7.4%와 7.2%를 기록했다.

삼성카드는 이런 수치를 통해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이 시작되면 학원 등록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성인 1명이 평균 4장의 카드를 가지고 있고 실제 부모들이 여러 장의 카드로 입시 및 보습 학원비를 결제하는 경우가 있다”며 “실제 월평균 학원비는 100만~200만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부모들의 학원비 지출이 경기 침체에도 이어지면서 지난해 대형 입시학원들은 막대한 이익을 거뒀다.

전년 대비 영업 이익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곳이 있는가 하면 영업이익이 1000억원을 돌파한 곳도 있었다.

메가스터디 온오프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가스터디교육은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1344억원으로 전년 대비 35.7% 늘었고 매출은 8360억원으로 18.7% 증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