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상생금융’에 1조5000억 모은 카드사들…사실은 ‘속앓이’
신한카드, 4000억 상생금융안 발표…카드사 전체 총 1.5조 모여
실적 악화 전망에 카드사들 ‘부담’…1분기 순이익 전년比 27.5% ↓
업계 “카드업권에 ‘당근’책 줘야”…이복현 금감원장 “강요한 적 없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지난 상반기 은행권에 집중됐던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요구가 2금융권으로 퍼지고 있다. 특히 카드업계는 우리카드를 시작으로 2주 만에 현대카드·롯데카드·신한카드 등이 상생금융 보따리를 풀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카드사들이 지난해보다 실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무리한 희생을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1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금융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총 4000억원 규모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 취약계층 대상 2500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취약 차주 대상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1500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신한카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이샵 투게더 소상공인 함께, 성장 솔루션’을 시행해 창업 정보·상권분석·마케팅플랫폼·개인사업자 대출 등에 이르는 소상공인 토탈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키로 했다.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그동안 카드사는 가맹점 모집·계약 단계에서만 관심을 둘 뿐 관리나 지원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측면이 있었다”며 “소상공인을 위한 솔루션을 구축하고 사업 단계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가맹점과의 동반성장에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달 29일 우리카드를 2금융권 중 최초로 방문했다. 이후 우리카드는 총 22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다. 뒤이어 현대카드 6000억원, 롯데카드 3100억원에 이어 이번 신한카드까지 상생금융 방안을 쏟아냈다. 현재까지 카드사들이 내놓은 상생금융 지원액만 총 1조5300억원에 이른다.
아직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하지 않은 삼성카드·KB국민카드·하나카드·BC카드 등은 내부 검토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 카드사 관계자들은 “검토 중인 건 사실이나 확정된 사항이 없어 구체적으로 말해줄 수 있는 바는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올해 카드사들의 실적 전망이 그다지 밝지 않다는 점이다.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7.5% 감소한 5866억원으로 집계됐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같은 기간 순이익이 5.2% 하락한 1667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카드의 경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3%나 급감하는 등 업황이 녹록지 않다. BC카드는 케이뱅크 풋옵션 평가손실이 반영돼 13억원의 순손실을 봤다.
이처럼 카드사들의 실적이 악화된 것은 계속된 기준금리 인상으로 조달비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카드사는 은행처럼 수신 기능이 없어 자금의 대부분을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발행으로 끌어온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업 카드사 7곳의 회사채 조달비중은 65%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AA+ 3년물 여전채 금리는 4.298%로 기준금리가 오르기 전인 지난해 초 2% 중반대를 크게 웃돈다.
여기에 2012년부터 정부는 3년마다 적격비용 재산정을 통해 중소·영세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카드 수수료율을 내려왔다. 지난해 1월 말 금융위원회는 연 매출 30억원 이하 우대 가맹점의 카드수수료를 0.8~1.6%에서 0.5~1.5% 수준까지 내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세액공제를 감안하면 전체 가맹점의 약 92%가 실제 수수료율이 없거나 오히려 환급을 받고 있다. 수수료 수익이 과거보다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날 김준영 사무금융노조 여수신업종본부 본부장은 “이복현 원장이 신한카드를 방문해 ‘카드사들이 가맹점 관리·지원에 소홀했다’고 말을 했는데 지난 12년간 수수료를 낮춰온 건 지원 아니냐”며 “카드 노동자들도 대승적 차원에서 가맹 수수료 인하를 수용해왔는데 이제 와서 지원이 부족했다는 건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라고 비판했다.
업계 전반의 불만도 커진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상생금융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나 카드사들, 특히 중소형사들은 부담이 되는 게 사실”이라며 “금융당국이 상생금융 방안을 요구한다면 적어도 카드업권에 가해진 규제들을 풀어주는 등의 ‘당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원장은 우리카드 방문 당시 카드사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일축했다. 그는 “카드업권 전반에 요구한 적 없다”며 “(금감원이) 선제적으로 말을 못 하지만 여력이 있는 카드·캐피탈사에서 제안해 주면 당국이 지지한다는 정도의 스탠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금융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총 4000억원 규모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 취약계층 대상 2500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취약 차주 대상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1500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신한카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이샵 투게더 소상공인 함께, 성장 솔루션’을 시행해 창업 정보·상권분석·마케팅플랫폼·개인사업자 대출 등에 이르는 소상공인 토탈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키로 했다.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그동안 카드사는 가맹점 모집·계약 단계에서만 관심을 둘 뿐 관리나 지원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측면이 있었다”며 “소상공인을 위한 솔루션을 구축하고 사업 단계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가맹점과의 동반성장에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달 29일 우리카드를 2금융권 중 최초로 방문했다. 이후 우리카드는 총 22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다. 뒤이어 현대카드 6000억원, 롯데카드 3100억원에 이어 이번 신한카드까지 상생금융 방안을 쏟아냈다. 현재까지 카드사들이 내놓은 상생금융 지원액만 총 1조5300억원에 이른다.
아직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하지 않은 삼성카드·KB국민카드·하나카드·BC카드 등은 내부 검토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 카드사 관계자들은 “검토 중인 건 사실이나 확정된 사항이 없어 구체적으로 말해줄 수 있는 바는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올해 카드사들의 실적 전망이 그다지 밝지 않다는 점이다.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7.5% 감소한 5866억원으로 집계됐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같은 기간 순이익이 5.2% 하락한 1667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카드의 경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3%나 급감하는 등 업황이 녹록지 않다. BC카드는 케이뱅크 풋옵션 평가손실이 반영돼 13억원의 순손실을 봤다.
이처럼 카드사들의 실적이 악화된 것은 계속된 기준금리 인상으로 조달비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카드사는 은행처럼 수신 기능이 없어 자금의 대부분을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발행으로 끌어온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업 카드사 7곳의 회사채 조달비중은 65%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AA+ 3년물 여전채 금리는 4.298%로 기준금리가 오르기 전인 지난해 초 2% 중반대를 크게 웃돈다.
여기에 2012년부터 정부는 3년마다 적격비용 재산정을 통해 중소·영세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카드 수수료율을 내려왔다. 지난해 1월 말 금융위원회는 연 매출 30억원 이하 우대 가맹점의 카드수수료를 0.8~1.6%에서 0.5~1.5% 수준까지 내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세액공제를 감안하면 전체 가맹점의 약 92%가 실제 수수료율이 없거나 오히려 환급을 받고 있다. 수수료 수익이 과거보다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날 김준영 사무금융노조 여수신업종본부 본부장은 “이복현 원장이 신한카드를 방문해 ‘카드사들이 가맹점 관리·지원에 소홀했다’고 말을 했는데 지난 12년간 수수료를 낮춰온 건 지원 아니냐”며 “카드 노동자들도 대승적 차원에서 가맹 수수료 인하를 수용해왔는데 이제 와서 지원이 부족했다는 건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라고 비판했다.
업계 전반의 불만도 커진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상생금융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나 카드사들, 특히 중소형사들은 부담이 되는 게 사실”이라며 “금융당국이 상생금융 방안을 요구한다면 적어도 카드업권에 가해진 규제들을 풀어주는 등의 ‘당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원장은 우리카드 방문 당시 카드사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일축했다. 그는 “카드업권 전반에 요구한 적 없다”며 “(금감원이) 선제적으로 말을 못 하지만 여력이 있는 카드·캐피탈사에서 제안해 주면 당국이 지지한다는 정도의 스탠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양세형, 박나래랑 단둘이 마카오…"촬영 본분 잊어"
2 지하철 1∼8호선 오전 러시아워 운행 9시30분까지 30분 연장
3'솔로라서' 명세빈, 난자 냉동 언급? "이젠 나이가…"
410만 달러선 실패한 비트코인, 9만 달러선도 위협…하락세 지속
5뉴욕 유가,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에 하락 반전…WTI, 0.25%↓
6"중견기업, 트럼프 2기 무역장벽에 수출시장 다변화해야"
7삼성전자, ‘위기론’ 이후…들려온 ‘이 소식’ 구원투수 될까
8BTS 뷔·박효신 명동 뜬다...신세계스퀘어, K-컬처 명소 도약
9롯데지주, 밸류업 계획 공시…“주주환원율 35% 이상 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