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100대 CEO] 56위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이사

이선정 대표는 수장이 된 이후 CJ올리브영의 상품군을 다양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 대표가 상품기획 분야 전문가인 만큼 상품력 강화·카테고리 확대 등에 힘을 주는 모습이다. 시장 동향과 소비자 요구를 빠르게 파악하고 부응, CJ올리브영의 상품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이 대표는 기존 화장품 위주에서 라이프스타일 부문까지 상품 구성을 대폭 확장했다. 특히 여성용품 카테고리를 신(新)성장동력으로 점찍고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취임 한 달 만인 지난해 11월 여성용품 카테고리 ‘W케어’를 신설했다. 이후 먹는 화장품으로 알려진 ‘이너뷰티’ 제품군을 신설하고 육성에 나섰다.
최근에는 샴페인 등 주류까지 판매하며 카테고리를 확대하고 있다. 명동, 여의도 등 일부 매장에서 시험 운영했던 주류 판매를 최근 서울 주요 매장으로 확장했다. 현재 주류 상품을 비치·판매하는 CJ올리브영 매장은 약 100곳으로 작년 말 70곳과 비교해 5개월여 만에 43% 늘었다.
해외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해외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몰인 ‘올리브영 글로벌몰’을 통해 한국 뷰티 브랜드를 기초제품부터 헤어·바디제품까지 다양하게 판매하고 있다. 또 K-컬처에 관심이 많은 외국인 소비자들에게 K-뷰티 트렌드를 소개하고 있다.
이 같은 외형 확장 노력에 올리브영은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8291억원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약 42.3% 증가했다.
올리브영에게도 풀어야할 과제는 있다. 그룹의 숙원사업인 상장을 이 대표가 이뤄낼지 관심사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8월 기업공개(IPO)에 나섰다 상장 추진을 잠정 철회한 바 있다. 그러나 CJ올리브영이 1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 실적을 달성하며 연내 다시 상장 추진을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Made in USA’로 美 관세 리스크 돌파…서정진 회장의 선제 승부수[화제의 바이오人]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최병길, 서유리 저격 "자기 팔자 망치고 있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현실로 다가온 '동맹 현대화'..."정상회담까지 대책 마련해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몸값 4조 달성한 ‘K뷰티 큰손’…구다이글로벌의 FI 활용법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 “단점에 솔직하지 못한 기업 피해라”[바이오 VC 집중조명]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