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본토, 미국에 깃발 꽂는다…하이브式 제작 통할까
‘하이브 x 게펜 레코드’ 29일 시작
K-팝 제작 시스템 앞세워 미국 진출
![](/data/ecn/image/2023/08/25/ecn20230825000118.600x.0.png)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하이브가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K-팝 제작 시스템이 ‘대중문화 본토’로 불리는 미국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으리라는 판단에서다.
하이브는 유니버설뮤직그룹(UMG)과 합작법인 ‘하이브 x 게펜 레코드’가 29일 오전 11시(한국시간) 글로벌 걸그룹 오디션 프로젝트 참가자들의 공개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하이브는 지난 2021년 UMG 산하 레이블 게펜 레코드와 합작 법인을 설립, 글로벌 신인 발굴 프로젝트에 착수한 바 있다.
미국 현지서 진행되는 오디션 프로젝트명은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The Debut: Dream Academy)다. 세계 각지에서 뮤지션이라는 같은 꿈을 꾸며 모인 젊은이들이 데뷔라는 목표를 향해 함께 도전해 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는 이날 콘텐츠 릴리스를 시작으로 12주간의 여정에 돌입한다.
하이브 측은 “해외서 대규모 오디션을 진행하는 것은 단순히 K-팝이 아니라, ‘K-팝 제작 시스템’이 세계화돼야 한다는 방시혁 의장의 소신에 따른 것”이라며 “방 의장은 미국 현지에 2년 가까이 상주하며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하고 있다”고 전했다.
방 의장은 콘텐츠 공개에 앞서 가진 존 재닉 게펜 레코드 회장과의 대담에서 “세계의 재능 있는 청년들에게 K-팝에 기반한 멋진 그룹의 멤버가 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꿈이 있었다. 이런 일이 일어나려면 미국시장이어야 된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하이브의 아티스트 제작 방식이 가동된 이 오디션 프로그램에는 전 세계에서 지원자가 몰렸다. 지난 2년간 12만명이 지원했고, 그중 7만 명은 참가자 모집 공고가 난 지 1주일 내에 오디션 영상을 보냈다. 이들 가운데 대면·비대면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데뷔 후보들은 12주간의 경쟁을 거친 뒤 생방송을 통해 최종 데뷔 멤버를 확정하게 된다.
경쟁 과정은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된다. 회사 측은 “올림픽을 방불케 하는 선의의 경쟁 구도가 될 전망”이라며 “전 세계의 시청자들은 서로 다른 지역적·인종적 배경을 보유한 연습생들이 K-팝 제작 시스템 속에서 경쟁하고, 성장하며, 성취해 가는 전 과정을 지켜볼 수 있게 된다”고 전했다.
하이브는 이번 프로젝트에 인수·합병(M&A)으로 확보한 미국 현지 인프라를 총동원할 계획이다. 회사는 그간 방탄소년단과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르세라핌, 뉴진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성공을 이끌었다.
방 의장은 “K-팝이 진정한 세계의 주류가 되려면 K를 뗀 ‘그냥 팝’ 그 자체가 돼야한다”고 강조해 왔다. 하이브는 이에 맞춰 ‘한국에서 만들어진 K-팝이 세계화되는 것’과 ‘제작 시스템 자체가 해외에서 뿌리내려 본토 팝 시장을 공략’을 추진 방향으로 잡았다.
회사 측은 “방탄소년단,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르세라핌, 뉴진스 등 다양한 성과가 나고 있다”며 “이제는 제작자들이 해외에서 K-팝 제작 시스템을 통해 현지의 인재들을 발굴해, 또 다른 방식의 세계화에 성공해야 할 때이며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는 후자에 승부를 거는 첫 도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AI폰 체험하세요"...갤럭시 스튜디오, 누적 방문객 30만명 돌파
2‘하츄핑 파워’ 이 정도였나.. SAMG엔터, 흑자 전환에 52주 신고가
3 전동킥보드 ‘싹쓸이 견인’에…“서울시, 행정 편의 위한 과잉 단속”
4코인원, 이성현 COO 공동대표로 선임
5‘기타맨’ 제작자 “故 김새론, 복귀 의지 강했다”
6농심, 네덜란드 판매법인 신설...“2030년 유럽매출 4배로 키운다”
7hy, 국내 최초 위 건강 이중제형 ‘윌 작약’ 출시
8서울시,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속도낸다…"통합심의 적극 추진"
9“타는 냄새”…공덕역 연기 발생해 무정차 통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