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더워서 못 잤다…서울 88년 만에 ‘9월 열대야’

25도 이상으로 가장 더운 가을밤
6일 전국 맑고 무더위 이어진다

폭염이 지속된 2일 오후 서울 반포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달빛무지개분수를 바라보며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열대야는 오후 6시 1분부터 이튿날 오전 9시까지 밤에 기온이 잠을 이루기 어려운 수준인 25도 이상을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홍다원 기자] 지난밤 서울과 인천 등에서 이례적인 9월 열대야가 나타났다. 서울에는 지난 1935년 이후 88년 만에 가장 더운 가을밤을 기록했다.

5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까지 서울과 인천·청주·군산·여수·제주 등의 밤 최저기온(오후 6시부터 이튿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은 25도 이상이었다. 

서울 아침 최저기온은 25.2도였다. 관측 사상 4번째 9월 열대야다. 서울에서는 지난 1914년 9월 2일, 1935년 9월 7~8일에 열대야 현상이 나타났다. 

인천(25.7도)과 청주(25.6도), 군산(25.0도)의 기온도 25.0도를 웃돌았다. 앞으로 기온이 더 내려가지 않으면 ‘관측 이래 9월 일최저기온 최고치’를 이날 기록하게 된다.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기록에 따르면 인천과 서울은 이번 열대야가 사상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늦은 열대야이다. 인천과 서울에서 9월 열대야가 나타나기는 이번까지 포함해 기상관측 이래 각각 2번과 4번에 불과하다.

밤사이 늦은 무더위는 동풍 때문이다. 기상청은 동풍에 지형효과가 더해지면서 수도권 등에 무더운 공기가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중국 쪽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타고 불어온 바람은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뜨거워졌다. 공기가 산맥을 통과할 때는 단열 팽창하면서 비를 뿌리는데, 건조해진 공기가 다시 산을 내려오면서 단열 압축되며 기온이 올라가는 것이다.

산맥 서쪽은 덥고 동쪽은 선선한 상황은 5일에도 이어지겠다. 다만 아침 최저기온이 6~7일 최고 23도로 예보돼 열대야 현상은 점차 해소될 전망이다.

한편 6일은 전국이 대체로 맑고 무덥겠다. 다만 일부 지역은 비구름의 영향으로 매우 습하겠다. 강원도와 남부 지역에는 오후 한때 비가 내리겠다. 강수량은 전라권에 5~40㎜, 강원도 5~10㎜, 경북 동해안 5㎜ 미만으로 전망된다.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30mm 내외의 강한 비가 내릴 수 있어 교통안전에 유의해야겠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6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7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8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9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실시간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