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K-푸드의 매력? ‘다양성’이 강점이자 약점”

[2023 K포럼]③
이치형 CJ푸드빌 본부장 “표준화” 지적
‘다양성’ 살리는 정부 지원 필요도 역설

‘대한민국이 브랜드다.’ 우리 것은 아침의 나라를 넘어 세계에 안착했다. ‘K-’로 통칭 되는 가치들은 불고 그치는 ‘바람’이 아닌, 어떤 상징으로 자리 잡았음이 이미 숱한 사례를 통해 증명됐다. 밖에서 한국을 보는 브랜드의 가치와 이를 만든 원동력은 무엇일까. 정통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와 국내 최초 연예 스포츠신문 ‘일간스포츠’는 ‘K포럼’을 통해 콘텐츠·푸드·뷰티·아트를 키워드로 이를 조망한다. [편집자 주]

일간스포츠와 이코노미스트가 공동 주최하는 ‘2023 K포럼’이 11일 서울 서초구 신반포로 JW메리어트호텔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사진은 두번째 세션인 ‘K푸드, 브랜드에 스토리를 입혀라’를 주제로 열린 토론에 참여한 패널들. [사진 신인섭 기자]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K-푸드의 강점? 다양성이 강점이고 또 약점입니다.” (이치형 CJ푸드빌 본부장)

한식이 ‘먹방’과 ‘K-푸드’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가운데 관련 산업이 성장하려면 제품을 표준화하는 데 성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식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현재의 인기를 이어가기 위해선 크리에이터 콘텐츠로 지속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치형 CJ푸드빌 본부장은 11일 서울 서초구 신반포로 JW메리어트호텔서울 그랜드볼룸에서 ‘대한민국이 브랜드다’를 주제로 열린 ‘2023 K포럼’에서 “K-푸드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 가장 방해되는 요소는 표준화”라고 꼬집었다. 외국인이 K-푸드를 떠올렸을 때 떠오르는 향과 맛이 있어야 하지만 한식은 아직 이런 이미지가 없다는 지적이다. 

제철 재료를 활용하는 한식의 특징 때문에 해외에서 한식과 관련한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본부장은 “한식은 발효 식품이나 제철 재료를 이용해 음식을 만들다 보니 현지에서 표준화된 맛을 구현하는 것은 물론 그런 재료를 구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며 “사업을 추진하는 입장에서는 고민되는 지점”이라고 했다.

한식을 세계화하려는 정부의 지원정책이나 분위기가 이어지지 않는다고도 했다. 이 본부장은 “한식을 세계화하자는 주장은 수십년 전 나왔다”며 “문제는 이런 사업들이 분절돼 장기적으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K-팝을 중심으로 한류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며 “K-푸드와 관련한 기업과 기관이 현장에서 많은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정부 또한 인센티브 등을 비롯한 지원으로 이들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토론에 참여한 패널들은 한식이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을 중심으로 세계인에게 친숙해졌다는 데 입을 모았다. 양수빈 푸드 크리에이터는 “여러 소셜 미디어(SNS)를 합하면 구독자의 수가 800만명가량인데 해외 팬이 더 많다”며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한국 음식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많고 해외 기업들과 협업을 진행하면서도 인기가 많다는 점을 체감한다”고 말했다.

청담언니 푸드 크리에이터도 “유튜브에 숏폼 영상을 올리면 한 콘텐츠가 외국인 시청자가 90%에 달할 때도 잦다”며 “한국 음식이 큰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며, 외국인 크리에이터가 한국 음식을 만들어 먹는 콘텐츠는 더 인기가 좋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한국식 조리법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다”며 “간장에 해산물을 오래 담그는 등 우리만의 조리법으로 그 나라의 식재료를 새롭게 요리하는 콘텐츠가 늘어난 덕”이라고 강조했다.

K-푸드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이어가기 위해서 크리에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크리에이터는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 콘텐츠를 제작·유통하는 창작자를 말한다. 송재룡 트레져헌터 대표는 “한식의 다양성이 강점이자 약점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콘텐츠를 만드는 입장에서는 이런 점이 오히려 K-푸드의 독특함이 되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 창작자를 넘어 다양한 사업에 도전하고 있어 K-푸드의 확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이 본부장도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는 감염병 대유행(팬데믹) 기간 북미와 동남아시아에서 매출이 크게 뛰었다”며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한국을 많이 접한 데다 해외로 이동이 자유롭지 않았던 것과 K베이커리의 우수한 맛품질을 경험한 해외 현지 고객이 늘어난 탓으로 분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드라마와 영화 등을 통해서도 K-푸드를 무대로 한 콘텐츠가 나온다면 지금보다 빠르게 (K-푸드가) 확산할 것”이라며 “‘서진이네’나 ‘한국인의 식판’ 등도 독특한 주제로 K-푸드가 해외로 영역을 확장하는 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업무효율 저하 부담에…대기업 10곳 중 3곳만 60세 이상 고용

2尹대통령 내외 사리반환 기념식 참석…"한미관계 가까워져 해결 실마리"

3 대통령실, 의료계에 "전제조건 없이 대화 위한 만남 제안한다"

4이복현 금감원장 "6월 중 공매도 일부 재개할 계획"

5정부 "80개 품목 해외직구 전면차단 아니다…혼선 빚어 죄송"

6 정부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사흘 만에 사실상 철회

7"전세금 못 돌려줘" 전세보증사고 올해만 2조원 육박

8한강 경치 품는다...서울 한강대교에 세계 첫 '교량 호텔' 탄생

9서울 뺑소니 연평균 800건, 강남 일대서 자주 발생한다

실시간 뉴스

1업무효율 저하 부담에…대기업 10곳 중 3곳만 60세 이상 고용

2尹대통령 내외 사리반환 기념식 참석…"한미관계 가까워져 해결 실마리"

3 대통령실, 의료계에 "전제조건 없이 대화 위한 만남 제안한다"

4이복현 금감원장 "6월 중 공매도 일부 재개할 계획"

5정부 "80개 품목 해외직구 전면차단 아니다…혼선 빚어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