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 가보니…농작물‧전력 모두 ‘수확’
농촌 인구 감소에 “영농형태양광 수익 모델 활성화” 목소리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한국의 농촌 인구 감소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농지에서 농작물뿐 아니라 친환경 전력도 생산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를 활성화하자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을 통해 농가 소득을 끌어올려 무너진 농촌 경제를 재건할 수 있다는 논리다. 태양광 전력으로 얻는 수익과 함께 탄소도 줄일 수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 고려할만한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영남대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를 방문했다. 이 단지는 한국동서발전이 2019년 실증 과제를 위한 기금을 조성됐다. 총 100킬로와트(㎾) 규모의 영농형 태양광 설비가 설치돼 있다. 구역별로 ▲일반 모듈 ▲수직형 모듈 ▲협소형(영농형 태양광 전용) 모듈 등이 설치돼 운영되고 있다. 하부 농지에서는 대파와 벼를 재배하는 구조다. 수직과 수평의 태양광 모듈 사이로 대파와 벼가 자라고 있어, 다소 생경한 풍경이 연출됐다.
단순 농지로 치부하기엔, 이 실증단지에서 생산하는 전력 규모가 꽤 크다. 지난해 생산된 전력은 130MWh(메가와트아워(MWh)에 달한다. 이는 국내 가정용 기준, 연간 140여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판매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약 3000만원의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은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최대 광량인 광포화점을 초과하는 잉여 태양 빛을 전력 생산에 사용하는 원리다. 농사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친환경 인증을 획득한 모듈과 철거가 쉬운 구조물이 활용된다. 농기계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3~5m 높이에 모듈이 설치된다. 농작물 수확량은 일반 농지보다 약 80% 수준이지만, 전력 판매 등을 고려하면 농지 생산성은 늘어난다.
실제 영남대가 진행한 실증 결과, 영농형 태양광 농지의 수확량은 일반 농지의 약 80%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작물에선 태양광 모듈이 태양 빛과 복사열로 인한 식물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생육을 돕는 효과도 관찰됐다. 국내에서 총 77개의 실증단지에서 연구가 진행됐는데, 작물 수확량은 일반 농지의 71~111%로 보고됐다.
한화큐셀은 영농형 태양광에 최적화된 모듈을 제작해 국내 실증단지 등에 공급하고 있다. 2021년에는 KS 인증 중에서도 친환경 고(高)내구성 항목에 대한 추가 인증을 획득한 영농형 태양광 모듈 신제품을 업계 최초로 출시했다. 유재열 한화큐셀 한국사업부장(전무)은 “영농형 태양광은 농가 소득을 올릴 수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며 “영농형 태양광에 최적화된 친환경 모듈을 지속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선 너도나도 영농형 태양광…“관련 법 손질해야”
올해 기준 약 4000개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가 설치돼 있는 일본을 비롯해 해외에선 영농형 태양광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해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보급 속도가 다소 느린 만큼,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문제는 현행 농지법은 농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를 최장 8년만 운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8년이 지나면, 수명 25년 이상의 발태양광 발전소를 철거해야 한다는 얘기다. 농지법 개정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이미 2020년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영농형 태양광을 위한 타용도 일시 사용 허가 기간을 20년으로 하는 농지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지난 5월에는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지에 영농형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근거인 ‘농지의 복합 이용’ 개념을 담은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농지법 개정 움직임은 꾸준하다. 현재로선 내년 시행 예정인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을 활용해 일시적으로 영농형 태양광 수명을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평행선 그리는 ‘의정갈등’...고래가 싸우자, 새우는 울었다
2‘검은 반도체’ 김 수출 역대 최고기록 달성…10억달러 수출 청신호
3이복현 "상법 개정보다 자본시장법 개정이 합리적"
4롯데, 해외 부실면세점 철수 검토…케미칼, 자산매각 추진
511월 기록적 폭설에 車사고 60% 급증…보험료 인상 조짐
6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4년만에 승인…통합 LCC도 출범
7이재명 “‘국장’ 떠나는 현실...PER 개선하면 ‘코스피 4000’ 무난”
8롯데바이오로직스 설립 2년 만 수장 교체…신임 대표는 아직
9상법 개정 되지 않는다면 “국장 탈출·내수 침체 악순환 반복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