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이재명 관련 압색 36회…野 ‘376회’ 주장 근거 없어”
“경찰 자료 제출·김만배 비리 등까지 포함한 주장”
이 대표·조국 전 장관도 ‘300번’ 넘는 압색 주장

대검찰청 반부패부(부장 양석조)는 30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해 6월 수사팀을 다시 재편한 이후 이 대표와 관련된 사건 압수수색은 총 36회 집행됐다고 밝혔다.
이 대표 개인 비리를 포함한 전체 사건 관계자에 대한 압수영장 발부 및 집행 횟수는 대장동·위례 10회, 쌍방울 및 대북송금 11회, 변호사비 대납 5회, 백현동 5회, 성남FC 5회다.
반부패부는 “대규모 비리의 실체 규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법원에서 발부한 영장을 집행했다”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 대표 주거지와 당 대표실, 의원실, 의원회관 압수수색은 한 바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와 관련된 장소는 종전에 근무했던 도지사실·시장실과 구속된 정진상, 김용의 사무실과 주거 등 10여곳에 불과하다며 ‘376회’ 주장은 “근거 없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야권 주장은 이 대표 배우자 김혜경 씨의 법인카드 무단사용 혐의로 경찰이 음식점 100여곳 매출전표 등을 제출받은 것을 검찰 압수수색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고 검찰은 지적했다.
또 대장동 김만배 일당과 백현동, 위례 개발비리 피의자들의 개인 비리,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개인 비리 사건까지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 대표 사건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중 문제제기(2021년 9월 대장동), 금융당국 통보(2021년 10월 쌍방울 기업비리 및 대북송금), 감사원 수사요청(2022년 4월 백현동) 등을 토대로 지난 정부에서 수사착수되고 다수인이 관계된 대규모 비리사건”이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총 53명이 기소되고 22명이 구속됐다.
민주당 측은 이 대표 사건과 관련, 야당 대표를 겨냥한 현 정부의 ‘표적수사’라며 압수수색이 376회에 이르는 ‘과도한 수사’라고 주장해왔다.
앞서 이 대표는 국회의 체포동의안 표결 전날 페이스북에 “검찰은 검사 약 60명 등 수사인력 수백명을 동원해 2년이 넘도록 제 주변을 300번 넘게 압수수색하는 등 탈탈 털었다”고 적은 바 있다. 27일에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도 “70여명의 검사가 376회 압수수색을 했다”는 페이스북 글을 올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 대통령, 최종 진술에서 “직무 복귀하면 개헌 추진”
2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3'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4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5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6‘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7"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8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9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