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화려한 귀환’ 엔씨, 지스타서 글로벌 신작 라인업 7종 공개

“다 장르로 새로운 도전…소통하며 좋은 게임 만들 것”

최문영 PDMO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엔씨소프트]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엔씨소프트가 1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지스타 2023’에서 ‘오프닝 스피치’를 진행하고, 출품작 7종을 공개했다.

엔씨(NC)는 각 게임의 개발자가 직접 무대에 등장해 게임을 소개하고, 신규 트레일러 영상을 관람객들에게 공개했다. 지스타 출품작을 총괄하는 최문영 PDMO(수석개발책임자)는 “지스타에서 다양한 장르, 다양한 즐거움을 드리기 위해 모든 개발팀과 엔씨 전체가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개발 과정을 이용자와 함께 소통하면서 발전시켜 좋은 게임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인사말을 전했다.

엔씨는 ▲슈팅 ‘LLL’ ▲난투형 대전 액션 ‘배틀크러쉬’ ▲수집형 RPG ‘프로젝트 BSS’ 등 신작 3종의 시연 부스를 운영한다

LLL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넓은 월드에서 많은 이용자가 함께 플레이하는 ‘오픈월드 MMO 슈팅’ 장르 게임이다. 배재현 Seeder는 신규 트레일러를 소개하며 “다양한 무기·스킬 조합과 함께 자유롭게 오픈 월드를 누빌 수 있는 것이 LLL만의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배틀크러쉬는 ‘난투형 대전 액션’ 장르 게임이다. 엔씨가 닌텐도 플랫폼으로 선보이는 첫 신작으로 대중들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강형석 캡틴은 “무너지는 지형을 피해 안전지역으로 돌아오거나 강력한 공중 공격으로 상대를 날려버리는 등의 전투 액션을 즐길 수 있다”며, “전략적인 팀 구성과 아이템 획득을 통해 최후의 1인이 되어 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프로젝트 BSS는 '블레이드 & 소울'의 세계관을 활용해 새로운 플레이 스타일로 재해석한 신규 IP다. 고기환 캡틴은 "수집형 RPG 장르 본연의 재미를 이용자들이 함께 소통하며 즐길 수 있는 필드 환경에 최적화된 액션과 모험으로 담아냈다”며, “단순 스펙 위주가 아닌 전투 환경과 상황에 맞춰 대응하는 전략적인 '팀 조합'의 재미와 수집과 조합의 묘미를 극대화하는 '전술 전투'가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신작 MMORPG TL은 12월 7일 출시를 앞두고 지스타 현장에서 새로운 영상을 공개했다. 11월 18일 오후 1시 안종옥 PD가 MC 정소림, 박상현과 함께 무대 행사를 진행한다. ▲1인 던전 ▲6인 파티 던전 ▲길드 레이드 등 최근 변화를 단행한 TL의 핵심 콘텐츠 시연을 볼 수 있다. 지스타 기간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MMORTS ‘프로젝트G’와 인터랙티브 어드벤처 ‘프로젝트M’은 관람객들에게 신규 영상을 공개했다. 프로젝트G는 PC와 모바일, 프로젝트M은 콘솔과 PC 플랫폼으로 개발 중인 신작이다. 상세 개발 현황은 17일 오후 1시 30분 진행하는 ‘Upcoming Project Interview’ 행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엔씨는 오프닝 스피치를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했다. 자세한 내용은 엔씨 지스타 2023 특별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2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3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4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5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6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7'故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골때녀 하차한다

8‘월세 1만원’ 정책, 지자체별 월세 지원책 살펴보니

9JMS 고발한 ‘나는 신이다’ PD, 성폭법 위반인가

실시간 뉴스

1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2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3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4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5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