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주 48시간 이하 근무가 적당”
직장갑질119, 직장인 1000명 대상 설문
10명 중 8명 “노동시간 축소·현행 유지”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직장인의 절반은 일주일에 가능한 근로시간을 최대 48시간으로 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9월 4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장인 77.9%가 근로시간을 줄이거나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의 48.3%는 근로시간은 4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고 봤다. 29.6%는 근로시간을 주 52시간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사무직(47.6%), 생산직(48.5%), 서비스직(47.0%) 모두 1주일에 가능한 최대 근로시간의 상한선을 48시간으로 낮춰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제조업(43.4%), 도소매업(41.5%),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50.4%), 건설업(41.8%) 등 업종과 무관하게 대부분 주 최대 48시간 근무가 적당하다고 답했다.
특히 직장갑질119는 이번 설문조사를 근거로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서 노동자 대다수가 주 60시간 근로에 찬성한다는 결과가 나온 것은 ‘착시’라고 주장했다.
고용부 조사에서는 ‘특정 주 내 최대 근로시간 제한 범위를 1주 60시간 이내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노동자의 75.3%, 사용자의 74.7%로 가장 높았는데, 택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상한이 ‘주 60시간 이내’였다.
직장갑질119 야근갑질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성우 노무사는 “주 48시간은 유럽연합 대부분 국가에서 시행 중이고, 국제노동기구(ILO)도 밝힌 주당 근로시간 상한의 국제적 기준”이라며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할 근로시간 제도 개편의 최우선 과제는 ‘일과 생활 균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동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9월 4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장인 77.9%가 근로시간을 줄이거나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의 48.3%는 근로시간은 4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고 봤다. 29.6%는 근로시간을 주 52시간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사무직(47.6%), 생산직(48.5%), 서비스직(47.0%) 모두 1주일에 가능한 최대 근로시간의 상한선을 48시간으로 낮춰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제조업(43.4%), 도소매업(41.5%),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50.4%), 건설업(41.8%) 등 업종과 무관하게 대부분 주 최대 48시간 근무가 적당하다고 답했다.
특히 직장갑질119는 이번 설문조사를 근거로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서 노동자 대다수가 주 60시간 근로에 찬성한다는 결과가 나온 것은 ‘착시’라고 주장했다.
고용부 조사에서는 ‘특정 주 내 최대 근로시간 제한 범위를 1주 60시간 이내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노동자의 75.3%, 사용자의 74.7%로 가장 높았는데, 택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상한이 ‘주 60시간 이내’였다.
직장갑질119 야근갑질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성우 노무사는 “주 48시간은 유럽연합 대부분 국가에서 시행 중이고, 국제노동기구(ILO)도 밝힌 주당 근로시간 상한의 국제적 기준”이라며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할 근로시간 제도 개편의 최우선 과제는 ‘일과 생활 균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유퀴즈’ 출격 고현정, 드뮤어룩 완성한 ‘이 브랜드’
2이커머스에 반격…기대 이상 성과 낸 ‘스타필드 마켓’ 비결은
3‘1400원 强달러’에 달러보험 눈길 가네…장·단점은?
4구글 최고의 무기, 세계 1등 브라우저 크롬…분사해야 한다면?
5‘제2의 도시’의 운명…성장과 쇠퇴 그리고 도전
6“최강야구부터 무쇠소녀단까지”...땀 흘리는 예능이 인기인 까닭
7코오롱 ‘인보사 사태’ 이웅열 명예회장 1심 무죄
8‘코인 과세유예·상속세 완화’ 물 건너가나…기재위 합의 불발
9최상목 “야당 일방적 감액예산…결국 국민 피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