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교육 위해 직장 떠나” 올해 경단녀 134만9000명
경단녀 10명 중 4명은 자녀 육아 때문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10만7000명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기혼 여성의 고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794만3000명 중 비취업 여성은 283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 중 경력 단절 여성은 134만9000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만8000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해당 연령대 여성 인구가 줄면서 기혼 여성과 경력 단절 여성 인구도 함께 줄어드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단녀 비율은 1년 전(17.2%)보다 0.2%p 하락한 17.0%로 집계됐다.
전체 경력 단절 여성 중 3040 여성이 차지한 비중이 84.1%에 달했다.
경력 단절 이유로 ‘육아’를 꼽은 사람은 56만7000명으로 전체의 42.0%를 기록했다. 이어 결혼 35만3000명(26.2%), 임신 및 출산 31만명(23.0%), 자녀교육 6만명(4.4%) 순을 기록했다.
경력 단절 기간 별로 보면 10년 이상이 40.0%로 가장 많았고, 5∼10년 미만은 24.1%, 3∼5년 미만은 13.2%을 기록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24.9%로 나타났다.
자녀 수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3명 이상 29.4%, 2명 26.0%, 1명 23.1% 순으로 자녀가 많을수록 경력 단절 여성의 비율은 높았다.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10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워킹맘은 260만9000명이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0.0%로 작년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