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녀 교육 위해 직장 떠나” 올해 경단녀 134만9000명

경단녀 10명 중 4명은 자녀 육아 때문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10만7000명

21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메쎄에서 열린 경기도 여성취업박람회 '경기여성 잡 페스타 2023'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비취업 기혼여성 2명 중 1명이 개인 사유로 직장을 떠나고 이후 재취업을 못하는 ‘경력 단절 여성(경단녀)’으로 나타났다. 경단녀 10명 중 4명은 자녀 육아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기혼 여성의 고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794만3000명 중 비취업 여성은 283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 중 경력 단절 여성은 134만9000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만8000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해당 연령대 여성 인구가 줄면서 기혼 여성과 경력 단절 여성 인구도 함께 줄어드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단녀 비율은 1년 전(17.2%)보다 0.2%p 하락한 17.0%로 집계됐다. 

전체 경력 단절 여성 중 3040 여성이 차지한 비중이 84.1%에 달했다. 

경력 단절 이유로 ‘육아’를 꼽은 사람은 56만7000명으로 전체의 42.0%를 기록했다. 이어 결혼 35만3000명(26.2%), 임신 및 출산 31만명(23.0%), 자녀교육 6만명(4.4%) 순을 기록했다. 

경력 단절 기간 별로 보면 10년 이상이 40.0%로 가장 많았고, 5∼10년 미만은 24.1%, 3∼5년 미만은 13.2%을 기록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24.9%로 나타났다. 

자녀 수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3명 이상 29.4%, 2명 26.0%, 1명 23.1% 순으로 자녀가 많을수록 경력 단절 여성의 비율은 높았다.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10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워킹맘은 260만9000명이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0.0%로 작년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동남아시아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기회의 땅

2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3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4'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5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6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7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8"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9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실시간 뉴스

1동남아시아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기회의 땅

2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3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4'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5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