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mRNA 시장 진출 속도…화순공장 파일럿 플랜트 준공
“mRNA 플랫폼 통해 사업 영역 확대할 것”

이번에 준공된 시설에서는 mRNA 의약품을 생산하는 모든 단계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질 이동에 따른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였고, 생산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또, GC녹십자는 이 시설에 싱글 유즈 생산설비를 도입해 교차오염의 위험을 낮췄다고도 했다. 여러 제품을 이 시설에서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시설은 우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을 만족하는 제조소이기도 하다.
GC녹십자는 파일럿 플랜트를 중심으로 mRNA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아퀴타스와 지질나노입자(LNP) 개발, 옵션 계약을 체결했고 자체적으로 mRNA-LNP 플랫폼도 개발했다. 파일럿 플랜트에 mRNA 관련 기술 역량을 내재화할 방침이다. 회사는 현재 mRNA 기반 독감 백신과 희귀질환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정재욱 GC녹십자 연구개발(R&D)부문장은 “mRNA 플랫폼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파일럿 플랜트를 구축했다”며 “감염병 대유행(팬데믹)에 빠르게 대응하고 공동 연구에서도 이 설비가 잘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2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3“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4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5“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6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7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8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9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