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24년, 중국 경제의 방향은?

사진=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연설을 발표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해마다 12월 중순이 되면 중국에서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이 주최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열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의를 주재하고 중국의 지도부와 지방정부 관계자, 국영기업 대표 등 수백 명이 참석하는 중국 최고위급의 경제업무회의다. 한 해의 경제정세를 판단하고 다음 해의 거시적 경제정책을 정하는 풍향계로 알려졌다. 

지난 11~12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앙경제공작회의는 2023년 중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였고, 장기적으로 좋은 방향으로 발전하는 경제의 기본 추이는 변하지 않았다고 분석했으며 2024년 중국 경제의 중점은 질적 발전이라고 발표했다.

사진=세계적으로 해상풍력발전 복합생산능력이 가장 큰 기지 중 하나인 장쑤성 옌청시 다펑구


올해 중앙경제공작회의는 2024년에는 경제의 질적 발전을 둘러싸고 아홉 가지 경제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중 현대화 산업체계 구축을 우선으로 두었다. 이는 중국이 실물경제에 기반한 현대화 산업체계의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핵심기술의 독자적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됨을 의미한다. 

아홉 가지 핵심 업무로는 ①과학 기술 혁신을 통한 현대화 산업 시스템 구축 ②국내 수요 확대 ③중점 분야 개혁 심화 ④높은 수준의 대외개방 ⑤중점 분야 리스크 예방 및 해결 ⑥농업·농촌·농민 업무 ⑦도농 간 융합 및 지역 간 조화로운 발전 ⑧생태문명 건설과 녹색 저탄소 발전 ⑨민생 보장 및 개선이다. 

이번 연례 회의에서는 대외개방과 관련해 '투자중국(投資中國)' 브랜드를 제시했다. 외국인들이 중국에서 사업, 공부, 관광을 하는 중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고 시장화와 법치화, 국제화의 일류의 경영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중국은 통신·의료 등 서비스 분야의 시장 진입을 완화하고 중대한 프로젝트와 '작고 아름다운 프로젝트’를 일괄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자료 제공: CMG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