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IPO 시계’ 멈춘 케이뱅크…여전한 불확실성

[MBK의 아픈 손가락]③
건전성 개선 위한 자본확충 절실
2026년까지 상장, PEF와 약속 지켜야
11번가 강제매각 보며 조급해진 IPO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기업공개(IPO) 재수생’인 케이뱅크의 불확실성이 커졌다. 실적 부진에 더해 건전성 관리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21년 MBK파트너스 등 재무적투자자(FI)와 한 ‘IPO 약속’을 내년엔 지킬 수 있을지 관건이다. 

IPO 시계 멈춘 동안…실적‧건전성 악화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상장은 IPO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무기한 연기 상태다. 케이뱅크는 인터넷전문은행 경쟁사인 카카오뱅크의 상장에 자극을 받은 듯 빠르게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이에 올해 초 케이뱅크는 대형 공모주 후보로 불리며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주식과 투자시장이 급격히 침체됐고, 기업가치 저평가를 우려해 지난 2월 상장을 철회했다. 특히 피어그룹인 카카오뱅크의 주가가 급락한 점도 케이뱅크엔 악재였다. 당시 케이뱅크는 시장 상황 안정 시 IPO를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정확한 시점을 언급하진 않은 상태다. 

그 사이 실적은 주춤했다. 케이뱅크의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은 132억원으로 전년 대비 48.4% 역성장했다. 해당기간 카카오뱅크는 당기순이익 9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늘었다. 토스뱅크 역시 3분기 당기순이익 86억원을 기록하며 첫 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 3분기 인터넷전문은행 중 케이뱅크가 유일하게 성장률이 하락했다.  
은행의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떨어졌다. NIM은 은행이 자산을 운용해서 낸 수익에서 조달 비용을 차감한 나머지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다. 통상적으로 NIM이 높을수록 금융사의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해석된다. 케이뱅크의 NIM은 올해 3분기 말 기준 2.30%다. 지난해 3분기 말 2.44%에서 0.14%p 떨어졌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주요과제 중 하나인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따른 건전성 관리도 필요한 상황이다. 케이뱅크의 지난 3분기 말 총 대출채권의 연체율은 0.90%로 전년 동기 대비 0.23%p 상승했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저신용자 대출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건전성 지표를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케이뱅크의 3분기 말 자기자본(BIS)비율은 13.91%다. 1년 전 수치인 14.51%와 비교하면 소폭 떨어졌다. BIS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건전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케이뱅크의 해당 수치는  최소 유지 조건인 10.5%를 상회하는 수준이지만, 금융당국이 은행 건전성을 위해 권고하는 수준인 13%를 간신히 넘긴 상황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아직 IPO 시기를 말하기는 시기상조”라면서 “29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은행장 선임 등에 대한 얘기가 마무리된 뒤 내년부터 IPO 전략을 이어나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케이뱅크 사옥. [사진 케이뱅크]

옵션 딸린 FI 투자…자기자본 인정 못 받아
2021년 재무적 투자자(FI)와 맺은 계약 또한 케이뱅크가 IPO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다. 케이뱅크는 2021년 7월 1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면서 재무적투자자에게 7250억원의 투자자금을 유치했다.

당시 주요 투자자로는 MBK파트너스를 비롯해 베인앤캐피탈, MG새마을금고 등이 들어왔다. 케이뱅크의 최대주주인 BC카드는 이 투자자들에게 5년 내 적격 상장에 실패할 경우 행사할 수 있는 동반매각청구권(드래그얼롱)을 부여했다. 드래그얼롱은 기업이 사모펀드(PEF)에 투자받으며 약속한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거나, 기한 내 IPO에 실패하면 PEF가 기업 경영권 지분까지 강제로 매각할 수 있는 조항을 뜻한다.

하지만 드래그얼롱이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낳았다. FI와 IPO를 약속한 2026년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지만, 해당 투자유치가 완전한 자기자본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게 문제다. 금융감독원은 드래그얼롱이 부여된 투자지분을 케이뱅크의 자기자본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케이뱅크는 IPO가 더욱 절실하다. 건전성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IPO를 통해 외부 자금을 유치해 자본확충에 나서야 한다. 

최근 시장에선 SK스퀘어가 PEF에 약속한 자회사 11번가의 콜옵션 이행을 포기하면서, 11번가가 초유의 강제매각 수순을 밟게 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과 PEF 간 거래에서 드래그얼롱 조건이 현실화 된 사례이기 때문이다. 케이뱅크 또한 11번가처럼 강제매각되지 않으려면, PEF와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IPO를 재촉할 수밖에 없다.

백두산·홍예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케이뱅크의) 주택담보대출 성장이 핵심이며, 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이 자본확충”이라며 “IPO 재추진이나 기존 주주 또는 신규 주주 대상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등 다양한 방안이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궁극적으로는 2년 내 IPO를 통한 추가 자본확충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유동성 리스크 프리미엄을 축소해 기업가치가 개선될 것에 주목한다”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전자, ‘위기론’ 이후…들려온 ‘이 소식’ 구원투수 될까

2BTS 뷔·박효신 명동 뜬다...신세계스퀘어, K-컬처 명소 도약

3롯데지주, 밸류업 계획 공시…“주주환원율 35% 이상 지향”

4젝시믹스 매각설에…이수연 대표 “내 주식 겨우 1만원 아냐” 반박

5“뉴진스 성과 축소”…민희진, 하이브 최고홍보책임자 등 고발

6수요일 출근길 ‘대설’…시간당 1∼3㎝ 쏟아진다

7“교통 대란 일어나나”…철도·지하철 등 노조 내달 5~6일 줄파업

8‘조국 딸’ 조민, 뷰티 CEO 됐다…‘스킨케어’ 브랜드 출시

9 러 “한국식 전쟁동결 시나리오 강력 거부”

실시간 뉴스

1삼성전자, ‘위기론’ 이후…들려온 ‘이 소식’ 구원투수 될까

2BTS 뷔·박효신 명동 뜬다...신세계스퀘어, K-컬처 명소 도약

3롯데지주, 밸류업 계획 공시…“주주환원율 35% 이상 지향”

4젝시믹스 매각설에…이수연 대표 “내 주식 겨우 1만원 아냐” 반박

5“뉴진스 성과 축소”…민희진, 하이브 최고홍보책임자 등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