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크는 주사’, 맞아도 될까?…5년간 부작용 사례 5배 급증
처방 건수 3.5배 증가
전문가들 “미용 목적 투여 적절치 않아”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키 크는 주사’로 불리는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맞고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매년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는 2022년 19만1건으로, 2018년(5만5075건)의 3.5배였다.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처방된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69만5503건이었다.
이중 상급종합병원 처방 건수가 49.5%(34만4193건)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 35.5%(24만6624건), 병원급 10.2%(7만1089건), 의원급 4.8%(3만3597건) 순이었다.
의원급 처방 건수는 가장 적었지만, 2018년 1641건에서 2022년 1만871건으로 6.6배로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10∼14세 처방이 55.1%(38만3331건)로 가장 많았다. 5∼9세 40.0%(27만8355건), 15∼19세 2.7%(1만8883건), 5세 미만 2.1%(1만4934건)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처방 건수는 전체 27.7%(19만2497건)로 가장 많았다. 경기 18.7%(13만234건), 대구 13.8%(9만60127건)가 뒤를 이었다.
성장 호르몬 주사제 처방이 늘면서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도 증가했다.
신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320건이던 보고 건수는 2022년 1604건으로 5배로 늘었다. 2018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보고된 이상 사례는 총 5368건이다.
이상 사례로는 ▲ 전신 장애 및 주사 부위 출혈·통증 ▲ 두통·어지러움 등 신경계 장애 ▲ 구토·상복부 통증·오심 등 위장관 장애 ▲ 두드러기·가려움증·발진 등 피부조직 장애 등이 주로 보고됐다.
다만 식약처는 이러한 부작용과 성장 호르몬 주사제와 인과관계가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성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쓰는 치료제라며,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아이에게 투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조언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는 2022년 19만1건으로, 2018년(5만5075건)의 3.5배였다.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처방된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69만5503건이었다.
이중 상급종합병원 처방 건수가 49.5%(34만4193건)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 35.5%(24만6624건), 병원급 10.2%(7만1089건), 의원급 4.8%(3만3597건) 순이었다.
의원급 처방 건수는 가장 적었지만, 2018년 1641건에서 2022년 1만871건으로 6.6배로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10∼14세 처방이 55.1%(38만3331건)로 가장 많았다. 5∼9세 40.0%(27만8355건), 15∼19세 2.7%(1만8883건), 5세 미만 2.1%(1만4934건)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처방 건수는 전체 27.7%(19만2497건)로 가장 많았다. 경기 18.7%(13만234건), 대구 13.8%(9만60127건)가 뒤를 이었다.
성장 호르몬 주사제 처방이 늘면서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도 증가했다.
신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320건이던 보고 건수는 2022년 1604건으로 5배로 늘었다. 2018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보고된 이상 사례는 총 5368건이다.
이상 사례로는 ▲ 전신 장애 및 주사 부위 출혈·통증 ▲ 두통·어지러움 등 신경계 장애 ▲ 구토·상복부 통증·오심 등 위장관 장애 ▲ 두드러기·가려움증·발진 등 피부조직 장애 등이 주로 보고됐다.
다만 식약처는 이러한 부작용과 성장 호르몬 주사제와 인과관계가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성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쓰는 치료제라며,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아이에게 투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조언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의 중국 증시…‘5대 빅테크’ 시총 한 주 만에 57조원 증발
2이재용 ‘부당합병’ 2심도 징역 5년 구형…삼성 공식입장 ‘無’
3격화하는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갈등…예화랑 계약 두고 형제·모녀 충돌
4“이번엔 진짜다”…24년 만에 예금자보호 1억원 상향 가닥
5로앤굿, 국내 최초 소송금융 세미나 ‘엘피나’ 성료
6카드사들, 후불 기후동행카드 사전 신청받는다…사용은 30일부터
7카카오페이증권, 간편하고 편리한 연금 관리 솔루션 출시
8한화투자증권, ‘증권업 최초’ 공공 마이데이터 활용 서비스 출시
9메리츠證 Super365, 국내·미국 주식 거래수수료 완전 무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