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나도 대기업 가고 싶은데’…채용 계획 3년 연속 하락세에 ‘울상’

인크루트, 올해 기업 채용계획 조사 결과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대기업의 채용 계획이 3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구직자들의 마음을 애타게 하고 있다. 

7일 HR테크 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88곳, 중견기업 134곳, 중소기업 488곳 등 총 710곳을 대상으로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올해 채용 계획을 확정한 곳은 71.3%였다. 

이중 ‘확실한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힌 곳은 응답 기업의 41.4%, ‘채용할 가능성이 높고 일정과 인원은 세부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답한 곳은 29.9%였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응답 대기업의 67.0%, 중견기업의 73.9%, 중소기업의 71.3%가 각각 채용 계획을 확정 지었다. 지난해 조사에서 대기업 72%, 중견기업 75.5%, 중소기업 81.3%가 채용 계획을 확정 지었던 것과 비교할 때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채용을 확정 지은 기업의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채용 계획을 확정한 대기업의 비율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2022년에는 73%였지만 2023년 72%, 2024년 67% 등으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채용 방식과 시기에 대한 질문(중복응답)에는 경력직 수시채용을 선호했다. 채용 계획을 확정한 기업의 72.5%가 경력직 수시채용을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상반기 대졸 수시채용(28.7%), 하반기 대졸 수시채용(25.8%)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경력직 수시채용(37.3%), 대졸 정기공채 상반기(35.6%), 대졸 정기공채 하반기(30.5%), 대졸 수시채용 상반기(28.8%), 대졸 수시채용 하반기(27.1%)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채용 규모는 축소된 분위기다. 전체 기업의 채용 규모는 한 자릿수 채용이 65.6%로 가장 많았고, 두 자릿수 채용은 33%, 세 자릿수 채용은 1.4%로 나타났다. 

중견 기업의 두 자릿수 채용 응답은 51.5%로 지난해 72.5%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 자릿수를 채용하겠단 응답이 2023년 25%에서 올해 47%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대기업의 경우 두 자릿수 채용(67.3%) 비중이 오히려 높았다. 이어 한 자릿수 채용(28.8%), 세 자릿수 채용(3.8%)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해 조사에서 77.1%였던 두 자릿수 채용 비중은 약 10%포인트 줄었다.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이사는 “올해 연속된 경기 침체로 기업들이 채용 계획을 매우 보수적으로 계획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직을 계획 중인 경력 구직자는 신중한 태도를 가져야 하고, 신입 구직자는 경력 위주의 채용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경력을 쌓는 방법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민은행, ‘소상공인 정책자금대출’ 비대면 서비스 오픈

2조식까지 담았다...쿠팡, 비발디파크 패키지 최대 64% 할인

3프리드라이프, ‘2025 여름방학 올인원 영어캠프’ 론칭

4정부, 유류세 인하 연장 여부 다음 주 결정…'부분 환원' 유력

5hy ‘윌 작약’, 출시 40일 만에 300만개 돌파

6美, 반도체·의약품 수입 '국가안보 조사' 착수…관세 부과 수순 돌입

7현대차, ‘2026 아반떼’ 출시...가격은 2034만원 시작

8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상승…애플 2%↑, 기술·자동차주 동반 강세

9현대차그룹, 美 전 하원의원 드류 퍼거슨 ‘신임 워싱턴사무소장’으로 영입

실시간 뉴스

1국민은행, ‘소상공인 정책자금대출’ 비대면 서비스 오픈

2조식까지 담았다...쿠팡, 비발디파크 패키지 최대 64% 할인

3프리드라이프, ‘2025 여름방학 올인원 영어캠프’ 론칭

4정부, 유류세 인하 연장 여부 다음 주 결정…'부분 환원' 유력

5hy ‘윌 작약’, 출시 40일 만에 300만개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