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대기업 가고 싶은데’…채용 계획 3년 연속 하락세에 ‘울상’
인크루트, 올해 기업 채용계획 조사 결과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대기업의 채용 계획이 3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구직자들의 마음을 애타게 하고 있다.
7일 HR테크 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88곳, 중견기업 134곳, 중소기업 488곳 등 총 710곳을 대상으로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올해 채용 계획을 확정한 곳은 71.3%였다.
이중 ‘확실한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힌 곳은 응답 기업의 41.4%, ‘채용할 가능성이 높고 일정과 인원은 세부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답한 곳은 29.9%였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응답 대기업의 67.0%, 중견기업의 73.9%, 중소기업의 71.3%가 각각 채용 계획을 확정 지었다. 지난해 조사에서 대기업 72%, 중견기업 75.5%, 중소기업 81.3%가 채용 계획을 확정 지었던 것과 비교할 때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채용을 확정 지은 기업의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채용 계획을 확정한 대기업의 비율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2022년에는 73%였지만 2023년 72%, 2024년 67% 등으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채용 방식과 시기에 대한 질문(중복응답)에는 경력직 수시채용을 선호했다. 채용 계획을 확정한 기업의 72.5%가 경력직 수시채용을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상반기 대졸 수시채용(28.7%), 하반기 대졸 수시채용(25.8%)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경력직 수시채용(37.3%), 대졸 정기공채 상반기(35.6%), 대졸 정기공채 하반기(30.5%), 대졸 수시채용 상반기(28.8%), 대졸 수시채용 하반기(27.1%)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채용 규모는 축소된 분위기다. 전체 기업의 채용 규모는 한 자릿수 채용이 65.6%로 가장 많았고, 두 자릿수 채용은 33%, 세 자릿수 채용은 1.4%로 나타났다.
중견 기업의 두 자릿수 채용 응답은 51.5%로 지난해 72.5%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 자릿수를 채용하겠단 응답이 2023년 25%에서 올해 47%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대기업의 경우 두 자릿수 채용(67.3%) 비중이 오히려 높았다. 이어 한 자릿수 채용(28.8%), 세 자릿수 채용(3.8%)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해 조사에서 77.1%였던 두 자릿수 채용 비중은 약 10%포인트 줄었다.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이사는 “올해 연속된 경기 침체로 기업들이 채용 계획을 매우 보수적으로 계획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직을 계획 중인 경력 구직자는 신중한 태도를 가져야 하고, 신입 구직자는 경력 위주의 채용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경력을 쌓는 방법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