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한투운용 “주주환원 강화 여지 많은 중견·중소형株 주목해야”
-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주환원 세미나
“핵심은 저PBR이 아니라 '주주환원'”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최근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종목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주주환원을 확대할 수 있는 중견·중소형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2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주주환원 시대, 한국 주식시장의 변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김기백 한국투자신탁운용 중소가치팀 팀장은 “최근 PBR이 낮은 종목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며 “핵심은 저PBR이 아니라 기업들의 주주환원 강화 및 정책화를 통해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일컫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불투명한 지배구조와 낮은 주주환원”이라며 “배당제도 변경 등 정부의 제도 변화, 행동주의 펀드 및 주주연대를 비롯한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사회적인 분위기, 기업 경영진 세대 교체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 강화가 맞물리며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 관계를 일치하는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히 PBR 수치가 낮은 기업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주주환원을 강화할 수 있는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저평가 받고 있는 기업이 저평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이 필요한데 주주환원을 강화할 수 있는 기업은 순유동자산 및 수익가치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소형주 상승 여력 높아…세제 문제 해결해야"
또 주주환원 시대 투자처로는 대형주보다 중소형주를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 팀장은 “중견 및 중소기업들은 이제 막 1세대에서 2세대로 지배구조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이미 30% 수준의 주주환원율을 기록 중인 대기업과 달리 향후 주주환원율 상승 여력이 높아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주주환원을 지속할 수 있는 중견 및 중소기업의 조건은 우량주의 조건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지만, 해당 종목들은 개인 투자자들이 정보를 찾아 분석하기 쉽지 않다”며 “펀드매니저가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와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와 같은 투자상품이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증여세 등에서 일부 세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팀장은 “세금 망명이란 표현이 있을 정도로 그 부담이 커 이를 줄이고자 캐나다, 싱가포르로 많이 옮기고 있다”면서 “고용을 통해 근로소득세가 늘어나고 그 매출이 늘어나는 게 증여세 등에서 감소하는 폭보다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건강한 FOMO(Fearing Of Missing Out) 확산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김 팀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식시장에 FOMO 현상이 널리 퍼졌다”며 “앞으로는 주주환원 흐름에 동참하지 못하는 사람이 FOMO를 느끼게 되는, 이로 인해 자본시장의 질이 높아지는 시기가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AI 잘 모르시죠?" 김문수 저격한 안철수…계엄 두고서도 충돌(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