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여도 여성이 자녀 더 많이 돌봐...남성의 두 배 이상
맞벌이 여성 하루 평균 12시간 자녀 돌봐
남성 5시간 정도...유치원보다 시간 적어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부부가 맞벌이를 해도,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여성이 남성보다 두 배 수준 길었다. 여성의 자녀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추는 문화를 정착시키고, 돌봄 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이 연구원은 '젠더 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맞벌이 가구 여성의 하루 평균 아이 돌봄 시간은 남성의 두 배 수준 이상인 12시간에 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해 8월 0세부터 7세까지 영유아를 둔 5530명(여성 3564명·남성 196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맞벌이 가구에서 여성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하루 평균 11.69시간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남성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하루 평균 4.71시간에 그쳤다. 어머니의 돌봄 시간이 아버지의 두 배 수준을 훌쩍 넘는 셈이다.
남성의 하루 평균 돌봄 시간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돌봄 기관보다 적었다. 이들 기관의 하루 평균 돌봄 시간은 7.76시간이었다. 조부모의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3.87시간을 기록했다.
맞벌이를 하지 않는 가구에서도 남성의 자녀 돌봄 시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부부 중 한 명만 일할 경우, 남성의 자녀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4.4시간이었다. 하지만 여성의 자녀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15.63시간이었다.
연구진은 "맞벌이 여부와 상관없이 자녀 돌봄은 주로 여성이 하고 있다"며 "성 불평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맞벌이 가구는 특히 출근 전과 퇴근 후 자녀를 돌봐야 하는 부담이 여성에게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30분 단위로 맞벌이 가구의 돌봄 방법을 하루 동안 살펴본 결과, 오전 6시부터 8시까지 여성의 자녀 돌봄 부담은 60∼80% 수준이었다. 같은 시간대 남성의 자녀 돌봄 비율은 10% 정도였다.
어린이집 등 기관이나 조부모에게 자녀 돌봄을 넘겨도, 퇴근 무렵에는 여성에게 돌봄 부담이 다시 쏠렸다. 오후 6시를 기준으로 영아를 자녀로 둔 맞벌이 가구의 돌봄 비율은 여성이 55%, 남성이 20%, 조부모가 15%였다.
아이가 유아여도 여성의 돌봄 비율은 53%, 남성은 17%, 조부모 16% 등으로 비슷했다. 여성의 돌봄 부담은 자정 무렵 70%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 시간대 남성의 돌봄 비율은 20∼30%에 그쳤다.
여성에게 쏠린 자녀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돌봄 기관의 질적 확대와 일과 삶의 균형을 찾으려는 문화가 정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 중 32%는 일을 하며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돌봄 서비스 기관의 질적 향상'을 꼽았다.
'돌봄 서비스 기관의 돌봄 시간 증가'를 꼽은 비율은 19%, '부모 수당 등 각종 수당의 지급 확대'는 17%,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문화 확대'는 12.0%로 뒤를 이었다. '외국인 가사 도우미 제도'가 도입되면 이용하겠다고 밝힌 맞벌이 가구는 27%에 그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7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이 연구원은 '젠더 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맞벌이 가구 여성의 하루 평균 아이 돌봄 시간은 남성의 두 배 수준 이상인 12시간에 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해 8월 0세부터 7세까지 영유아를 둔 5530명(여성 3564명·남성 196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맞벌이 가구에서 여성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하루 평균 11.69시간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남성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하루 평균 4.71시간에 그쳤다. 어머니의 돌봄 시간이 아버지의 두 배 수준을 훌쩍 넘는 셈이다.
남성의 하루 평균 돌봄 시간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돌봄 기관보다 적었다. 이들 기관의 하루 평균 돌봄 시간은 7.76시간이었다. 조부모의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3.87시간을 기록했다.
맞벌이를 하지 않는 가구에서도 남성의 자녀 돌봄 시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부부 중 한 명만 일할 경우, 남성의 자녀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4.4시간이었다. 하지만 여성의 자녀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15.63시간이었다.
연구진은 "맞벌이 여부와 상관없이 자녀 돌봄은 주로 여성이 하고 있다"며 "성 불평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맞벌이 가구는 특히 출근 전과 퇴근 후 자녀를 돌봐야 하는 부담이 여성에게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30분 단위로 맞벌이 가구의 돌봄 방법을 하루 동안 살펴본 결과, 오전 6시부터 8시까지 여성의 자녀 돌봄 부담은 60∼80% 수준이었다. 같은 시간대 남성의 자녀 돌봄 비율은 10% 정도였다.
어린이집 등 기관이나 조부모에게 자녀 돌봄을 넘겨도, 퇴근 무렵에는 여성에게 돌봄 부담이 다시 쏠렸다. 오후 6시를 기준으로 영아를 자녀로 둔 맞벌이 가구의 돌봄 비율은 여성이 55%, 남성이 20%, 조부모가 15%였다.
아이가 유아여도 여성의 돌봄 비율은 53%, 남성은 17%, 조부모 16% 등으로 비슷했다. 여성의 돌봄 부담은 자정 무렵 70%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 시간대 남성의 돌봄 비율은 20∼30%에 그쳤다.
여성에게 쏠린 자녀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돌봄 기관의 질적 확대와 일과 삶의 균형을 찾으려는 문화가 정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 중 32%는 일을 하며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돌봄 서비스 기관의 질적 향상'을 꼽았다.
'돌봄 서비스 기관의 돌봄 시간 증가'를 꼽은 비율은 19%, '부모 수당 등 각종 수당의 지급 확대'는 17%,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문화 확대'는 12.0%로 뒤를 이었다. '외국인 가사 도우미 제도'가 도입되면 이용하겠다고 밝힌 맞벌이 가구는 27%에 그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