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보험사 실적 ‘역대 최대’라는데…디지털보험사 여전히 ‘적자 늪’

장기보험 상품 판매로 활로 모색…규제 개선 등 정책 지원 목소리도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국내 보험업계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웃음짓는 가운데, 디지털보험사만은 좀처럼 '적자 늪'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대면 영업이 대세인 보험시장에서 디지털보험사가 수익성을 개선할 만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디지털손보사가 장기보험 상품을 앞세워 활로를 모색하는 가운데, 규제 개선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보험회사들(생명보험사 22개+손해보험사 31개)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45.5%(4조1783억원) 급증한 13조3578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새 회계기준(IFRS9·IFRS17) 도입에 따른 손익 변동이 발생해 나타난 결과다. 하지만 금감원은 보장성보험(생보사)과 장기보험(손보사) 판매 증가도 큰 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전년보다 장기보험, 자동차보험, 일반보험, 퇴직연금 등 수입보험료(매출)가 고르게 성장한 영향이다.

그러나 디지털보험사들의 성적표는 업권 전체와 다르게 우울했다. 지난해 교보라이프플래닛·신한EZ손해보험·카카오페이손해보험·캐롯손해보험·하나손해보험 등 국내 디지털보험사 5곳은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하나손해보험의 순손실 규모가 879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캐롯손해보험 760억원 ▲카카오페이손해보험 373억원 ▲교보라이프플래닛 220억원 ▲신한EZ손해보험 7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하나손해보험·카카오페이손해보험·교보라이프플래닛은 2022년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디지털보험사는 현행 보험업법상 전체 계약 건수나 수입보험료에서 90% 이상을 비대면 채널에서 모집하는 ‘통신판매 전문 보험회사’를 뜻한다. 판매 채널이 설계사 등 대면 형식인 전통의 보험사와 차별된다. 디지털을 기치로 레드오션 상태인 국내 보험시장 업계를 재편하겠다는 목표로 지난 몇 년간 속속 등장했다.

하지만 강점으로 내세웠던 ‘디지털’이 되레 디지털보험사의 실적 개선에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과거부터 국내 보험시장은 설계사를 통한 대면 영업이 강세다. 은행 예·적금이나 신용카드 등 금융상품은 내용이 비교적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반면 보험상품의 경우 약관이 매우 복잡해 금융소비자들은 설계사를 통한 대면 영업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디지털보험사들은 그간 상품 구조가 간단한 여행자보험이나 핸드폰보험 등 ‘미니보험’(소액단기보험) 위주로 영업을 해왔다. 미니보험은 저렴한 보험료로 소비자의 보험 가입 접근성을 대폭 낮춘다는 장점은 있지만, 보험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약점이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디지털보험사도 장기보험 상품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카카오페이손보는 이달 초 운전자보험을 출시했는데, 출시 일주일 만에 가입자 1만명을 달성했다. 지난해에는 신한EZ손보가 운전자보험을 내놨다. 2022년에는 캐롯손보가 장기보험인 어린이보험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수익성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

신생 산업군인 디지털보험사의 초반 적자가 당연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2013년 설립된 교보라플을 제외한 나머지 보험사 4곳은 2019~2022년 설립된 신생 업체들이다. 디지털보험사 관계자는 “아직까지 디지털보험사는 전통 보험사들처럼 충분한 고객군을 형성하지 못한 점이 가장 큰 약점”이라며 “고객을 늘려 규모의 경제를 만드는 순간 실적 개선의 실마리도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규제를 개선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이정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디지털보험사는 거래 편의성을 높이고 판매 비용을 줄이는 사업모형인 만큼 국내 보험산업에 정착한다면 새로운 경쟁과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소규모거나 위험 노출이 낮은 회사가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나갈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험산업의 다양한 사업모형을 위해 인슈어테크의 소액단기전문보험회사 인가를 통한 시장진입을 촉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운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규제 완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올림픽 본선 실패 황선홍 “모든 책임은 제게…시스템은 바꿔야”

21억짜리 日도요타 6대와 포착된 김정은…“대북제재 농락”

3‘마동석표 액션’ 또 터졌다…‘범죄도시4’ 200만 돌파

4“직원 절반 연봉 5억 넘어”…‘꿈의 직장’ 이곳은

5뉴진스 '버블검' 조회수 폭발...하이브 '반등' 초읽기?

6'요리왕' 이원일 셰프, '캠핑 요리의 왕' 가린다

7걸그룹 출신 日비례의원, 당선 93분만에 사퇴, 이유는

8엔·달러 환율 158엔 돌파…34년 만 최저

9일론 머스크, 마크 저커버그 제치고 ‘세계 3위 부자’ 되찾아

실시간 뉴스

1올림픽 본선 실패 황선홍 “모든 책임은 제게…시스템은 바꿔야”

21억짜리 日도요타 6대와 포착된 김정은…“대북제재 농락”

3‘마동석표 액션’ 또 터졌다…‘범죄도시4’ 200만 돌파

4“직원 절반 연봉 5억 넘어”…‘꿈의 직장’ 이곳은

5뉴진스 '버블검' 조회수 폭발...하이브 '반등' 초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