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월급으론 부족해”...직장인들 사이 ‘이 부업’ 뜬다
- 블로그·유튜브 등 운영 인기
물가 올랐는데 소득은 줄어

일자리 애플리케이션(앱) 벼룩시장이 근로자 13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9일 공개한 소득조사 결과, 응답자의 82.1%는 현재 본업 외 부업을 하고 있거나(26.8%) 고려하고 있다(55.3%)고 답했다. 부업을 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17.9% 정도였다.
부업을 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블로그·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를 운영(20.2%)하거나 이벤트·행사 스태프(17.4%)로 일하거나 음식점 서빙·주방 보조(11.2%)를 하거나 택배·배달(9.0%)을 하거나 물류센터(8.4%)에서 일했다.
본업 외 부업을 고려하는 응답자들이 희망하는 부업 형태는 블로그·유튜브 등 SNS 운영(15.9%)이 가장 인기가 많았다. 본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사무보조(10.4%)나 매장 관리와 판매(9.7%), 택배와 배달(9.7%) 음식점 서빙과 주방 보조(9.3%), 카페 아르바이트나 바리스타(9.0%) 등의 직종이 선호도가 높았다.
부업을 하거나 고려하는 이유로는 ‘월급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5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19.1%), 부채를 갚기 위해(10.7%), 여유시간을 활용하기 위해(6.7%), 노후에 대비(5.1%)하기 위해서라는 답변도 뒤를 이었다.
사실상 월급만으로 물가 인상과 경기 침체 등을 감당할 수 없어서다. 실제 응답자의 60.3%는 ‘(소득의)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소득이) 증가했다’고 답한 비율은 19.2%에 그쳤고 ‘(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20.5%였다.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살림살이가 나빠졌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1.5%가 ‘그렇다’고 답했다. 나빠졌다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물가 상승’(79.0%) 때문이었다. 다음으로는 소득 감소(8.9%), 금리 인상(6.6%), 부채 증가(4.2%), 지출 증가(1.3%) 등이 뒤를 이었다.
소득 감소의 이유로는 ‘근로시간 감소’(39.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야근 수당, 초과근무 수당 등 각종 수당 감소(18.3%), 연봉 삭감(16.5%)으로 소득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부업으로 버는 소득은 월 62.3만원 정도다. 남성(71.2만원)이 여성(53.4만원)보다 17.8만원 더 버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필요한 조처할 것" 보복 시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