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40세대 43% “출산 의향 없다”…女 “필요 못느껴” 男 “여유없어”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 등 관계자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20∼49세 남녀 43% 가까이는 출산할 의향이 없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단 이들 중에서 44% 상당은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대폭 확대되면 출산을 고려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반도미래연구원은 최근 리서치업체 엠브레인과 함께 전국의 20∼4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심층 인식조사를 벌여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설문 결과 미혼남녀(1164명)의 절반인 53.2%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27.4%, ‘잘 모르겠다’는 19.4%였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자는 성별로 여성(34.6%)이 남성(21.5%)보다 높았다.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으로 불안해서’(20.1%)를, 여성은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할 것 같아서’(17.6%)를 꼽았다.

‘출산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전체의 42.6%에 달했고, 여성이(52.9%) 남성(33.1%)보다 많았다. 연령별 비출산 의향은 40대가 63.9%로 가장 높았고 30대와 20대가 각각 35.2%, 23.6%였다.

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여성은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3.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2.7%),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10.7%) 등의 순으로 답했다.

남성은 ‘고용상태-직업이 불안정하다고 느껴서’(17.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6.0%),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0.5%) 등이었다. 

다만 결혼이나 출산 의향이 없더라도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생각을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상당했다.

결혼 생각이 없는 미혼 남녀 544명 중 38.6%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늘어나면 의향을 바꿀 수 있는 유동층이었다. 반면 61.4%는 정부 정책이나 기업 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고정층이었다.

출산 의향이 없는 1245명 중 44.1%도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대폭 확대되면 출산 의향이 있다고 했다. 반면 55.9%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과 무관하게 비출산 입장을 고수했다.

정부 저출산 지원대책 중에서는 '육아휴직 확대와 급여지원'이 100점 만점에 73.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모급여 및 아동수당 월간지원'(70.5점), '어린이 병원비 경감'(68.4점), '아이 돌봄 지원사업'(68.3점), '국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 증설'(63.7점) 순이었다.

기업 지원의 경우 '자녀 학자금 지원'(72.0점), '자녀 보육비 지원'(70.7점), '자동 육아휴직제도'(69.9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69.0점),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제도(68.8점) 등으로 높이 평가받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정부,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회의 개최

2한국 25%·일본 24%·중국 34%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발표

3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4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5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6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7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8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9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실시간 뉴스

1 정부,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회의 개최

2한국 25%·일본 24%·중국 34%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발표

3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4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5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