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LFP 배터리 양극재’ 새 제조 공법 개발
현대제철·에코프로비엠과 협력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기아는 26일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협력의 경우 배터리 소재 분야 기술 확보를 위해 ‘자동차-이차전지-제철’ 등 각기 다른 산업이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동 협력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4년 동안 진행된다.
협력 개발 목표는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이다. 전구체는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 등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이다.
LFP 배터리의 양극재는 일반적으로 인산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현대차·기아가 확보하고자 하는 직접합성법은 별도의 전구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산 ▲철(Fe)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가 생략되는 만큼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또한 절감이 가능하다.
직접합성법을 통한 효율적인 양극재 생산을 위해서는 불순물이 없고 균일한 입자의 원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과 함께 국내 재활용 철을 가공한 고순도 미세 철 분말 공정 기술을 개발한다. 에코프로비엠은 이를 활용해 직접 합성 LFP 양극재 개발에 나선다.
더욱이 이 공법을 활용한 LFP 양극재는 성능향상을 통해 저온에서 우수한 충∙방전 성능과 함께 급속충전 기술 구현도 가능하도록 개발한다는 목표다.
이번 과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LFP 배터리 제조가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현재 양극재 전구체의 대부분은 일부 국가에서만 생산하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높지만, 직접합성법을 적용하면 국내 생산망을 활용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향후 전기차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배터리 기술 개발과 효과적인 재료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요 기술을 내재화해 국가와 현대차그룹의 기술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대차·기아는 26일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협력의 경우 배터리 소재 분야 기술 확보를 위해 ‘자동차-이차전지-제철’ 등 각기 다른 산업이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동 협력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4년 동안 진행된다.
협력 개발 목표는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이다. 전구체는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 등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이다.
LFP 배터리의 양극재는 일반적으로 인산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현대차·기아가 확보하고자 하는 직접합성법은 별도의 전구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산 ▲철(Fe)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가 생략되는 만큼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또한 절감이 가능하다.
직접합성법을 통한 효율적인 양극재 생산을 위해서는 불순물이 없고 균일한 입자의 원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과 함께 국내 재활용 철을 가공한 고순도 미세 철 분말 공정 기술을 개발한다. 에코프로비엠은 이를 활용해 직접 합성 LFP 양극재 개발에 나선다.
더욱이 이 공법을 활용한 LFP 양극재는 성능향상을 통해 저온에서 우수한 충∙방전 성능과 함께 급속충전 기술 구현도 가능하도록 개발한다는 목표다.
이번 과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LFP 배터리 제조가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현재 양극재 전구체의 대부분은 일부 국가에서만 생산하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높지만, 직접합성법을 적용하면 국내 생산망을 활용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향후 전기차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배터리 기술 개발과 효과적인 재료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요 기술을 내재화해 국가와 현대차그룹의 기술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비트코인 주춤, 기우였나…9만1천 달러선 회복
2성폭력 재판 중인데…협박에 미성년자 간음까지
3"이 돼지 해고해라" 트럼프에 욕설 날린 여배우 역풍
4 ‘인간 샤넬’ 지드래곤, 억소리 나는 독보적 패션
5헤드헌터가 말하는 'AI 시대'에 살아남는 인재 조건 3가지
6“사망보험금, 자녀에게 분할 지급할게요”…보험청구권 신탁의 필요성
7강남 그린벨트 해제, 그리고 한은 총재의 파격 제안
8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상장이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전하는 메시지
9“여기도 이혼, 저기도 이혼”...틀면 나오는 ‘이혼’ 프로그램,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