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7년간 금융사고 6617억원…60%는 은행에서 발생

은행권, 7년간 총 4098억원 사고 발생
우리은행 금융사고 규모 압도적 커

서울 중구에 위치한 우리은행 본점.[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최근 국내 전체 금융업권에서 매년 1000억원대 수준의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사고 10건 중 약 6건은 은행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구를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금융업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8년~2024년 8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463건에 발생금액은 6616억7300만원에 달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936억원(89건) ▲2019년 424억3900만원(60건) ▲2020년 281억5300만원(74건) ▲2021년 728억3200만원(60건) ▲2022년 1488억1500만원(60 건) ▲2023년 1422억1600만원(62건) 등이다. 올해는 8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 금액만도 1336억5200만원에 58건이다.

금융사고 종류별로 살펴보면 업무상 배임이 2171억8900만원(56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사기 2022억7000만원(152 건), 횡령·유용이 1962억600만원(216건), 도난·피탈 8억4400만원(14건) 등의 순이다.

업권별로는 은행 금융사고가 4097억500만원(264건)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증권 1113억3300만원(47건), 저축은행 647억6300만원(47건), 손해보험 458억1500만원(49건), 카드 229억6500만원(16건), 생명보험 70억9200만원(40건) 등이다.

은행업권의 금융사고 방생 건수 비중은 57.0%, 금액 비중은 61.9%에 달했다. 특히 은행 중에는 우리은행이 1421억1300만원(34.7%·30건) 으로 금융사고 규모가 압도적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국민은행 (683억2000만원·36건), 경남은행(601억5800만원·6건) 등이다. 금융사고 종류로는 횡령·유용이 1665억7600만원(40.7%·144건) 으로 가장 많았다.

저축은행 중에는 예가람(87억7700만원·3건)이 금융사고 규모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 KB(77 억8300만원·1건), 푸른상호(69억5300만원·3건) 등의 순이다. 금융사고 종류로는 사기가 239 억9700만원(37.1%·28건)으로 가장 많았다.

손해보험업권에서 금융사고가 가장 큰 보험사는 하나손해보험(255억7500만원·5건) 으로 전체 금융사고의 55.8%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서울보증(114억3300만원·3건), MG 손해보험(24 억9300만원·2건) 등의 순이다. 금융사고 종류 로는 업무상 배임이 261억 7400 만원(57.1%·10건)으로 가장 많았다.

생명보험사 중에는 삼성이 금융사고 규모가 16억9100만원(5건)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미래에셋(15억7600만원·7건), 흥국생명(15억원·1건) 등의 순이다. 금융사고 중에서는 사기가 40억5700만원(57.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증권업권에서는 삼성이 280억5200만원(6건)으로 금융사고 규모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 하이투자(204억8700만원·4건), 신한투자(199억9700만원) 등의 순이다. 금융사고 중에서는 업무상 배임이 393억5400만원(35.4%·10건)으로 가장 많았다.

카드사 중에는 롯데카드 금융사고 규모가 118억1100만원(3건)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우리카드(48억5500 만원·3건), 신한카드 (31억8000만원·4건) 등의 순이다. 금융사고 중에서는 업무상 배임이 111억8800만원(48.7%·3건)으로 가장 많았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업권 전반에 걸친 천문학적 수준의 금융사고 발생은 임직원의 준법의식 취약과 내부통제 미작동에 따른 것으로 이는 금융 업권 신뢰도 저하뿐만 아니라 그 빈도와 피해 규모 증가 시, 불필요한 시장 불안이 발생해 우량기관 및 실물경제로의 리스크 전이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 당국은 금융사고 관련 사고자뿐만 아니라 관계자에 대한 처벌 수위도 대폭 강화하도록 지도하고 금융업권별 발생하고 있는 금융사고 분석을 통해 맞춤형 대책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라며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화오션, HD현대重 고발 취소...“국익을 위한 일”

2北, '파병 대가'로 러시아서 '석유 100만 배럴' 이상 받았다

3지라시에 총 맞은 알테오젠 '급락'…김범수 처남은 저가 매수 나서

4 대통령실 "추경, 논의도 검토도 결정한 바도 없었다"

5"다 막혔는데 이거라도.." 금리 12% 저축은행 신용대출에 고신용자 몰렸다

6"자동주차 하던 중 '쾅'" 샤오미 전기차, 기능 오류로 70대 파손

7기업은행·인천대학교·웹케시, 창업기업 성장 지원 업무협약

8Sh수협은행, 공공 마이데이터 활용 서비스 확대

9"'블루오션' 이라더니"...인도 아다니 그룹, 하루새 시총 37조 증발

실시간 뉴스

1한화오션, HD현대重 고발 취소...“국익을 위한 일”

2北, '파병 대가'로 러시아서 '석유 100만 배럴' 이상 받았다

3지라시에 총 맞은 알테오젠 '급락'…김범수 처남은 저가 매수 나서

4 대통령실 "추경, 논의도 검토도 결정한 바도 없었다"

5"다 막혔는데 이거라도.." 금리 12% 저축은행 신용대출에 고신용자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