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경영정상화 의문…‘매년 1000억’ 환경개선 투자금 어디로
영풍의 환경 개선 사업 투자금, 과장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 ↑
“환경 개선 사업 투자금 사용 내역·계획, 소상히 밝혀야”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고려아연과 경영권 분쟁 중인 영풍이 실적 관련 수치가 모두 하락하며 경영 정상화에 대한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3분기 적자와 관련해 2021년부터 매년 1000억원씩 환경개선에 투자하고 있어서라는 이유를 내놓았지만 사실과 다르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 14일 영풍이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656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3999억원)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17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또한 올해 3분기 말 공장 가동률은 53.4%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영풍은 “지난 2021년부터 약 7000억원 규모의 환경개선 혁신 계획을 수립해 매년 1000억원 이상 환경개선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며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수치상으로 보이는 실적은 좋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풍은 실적을 포기하고 환경 개선에 진심이다”며 “현재 저조한 실적은 조만간 사업이 완료되면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충당부채 변화 보니 ‘연평균 수백억’ 불과해
이러한 해명과 달리 업계에서는 영풍의 사업보고서 내 '환경 개선 분야 충당부채 변화'를 살펴보면 2021년부터 환경 개선 사업에 매년 1000억원 이상씩 투자했다는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추정하고 있다.
충당부채란 지출 시기와 규모는 다소 달라질 수 있지만 지출 자체는 확정된 부채를 의미한다. 충당부채를 설정하면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영풍 사업보고서를 보면 환경 개선 투자와 관련해 충당부채로 비용 처리한 규모는 667억원으로 영풍이 밝힌 규모와 큰 차이를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환경 개선에 진심'이라는 해명과 달리 최근에도 환경법을 위반해 60일 조업 정지 확정에 이어 또 다른 위반 사항과 관련한 판결이 이어질 예정이다.
실제 영풍은 2020년에 처음으로 토지 정화와 석포제련소 주변의 하천 복구를 위해 총 608억원의 충당부채를 설정했다.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따지면 최근에 밝힌 시점(2021년)보다 한 해 앞서 환경 개선 사업에 투자금을 책정한 것이다. 이후 환경오염물질 처리와 지하수 정화·복구 비용이 추가되면서 2021년에 806억원, 2022년에 1036억원, 2023년에 853억원, 2024년에 1억원의 충당부채를 추가로 설정했다.
이렇게 2020년부터 설정한 환경 개선 분야 충당부채는 총 3305억원으로, 연평균 661억원 규모다. 과거와 비교해 환경 개선을 위한 충당부채를 지속해서 설정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최근 영풍이 밝힌 ‘매년 1000억원 이상’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더욱이 올해 영풍이 추가로 설정한 충당부채는 1억원에 불과하다.
환경 개선 사업에 대한 투자 때문에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됐다고 설명하기에는 새롭게 비용으로 반영된 환경 개선 충당부채 규모가 너무 작다.
정치권에서도 '낮은 잔재물 처리율' 비판
영풍이 환경 개선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비판은 정치권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석포제련소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1년 8개월간 처리한 제련 잔재물의 비중은 전체 잔재물의 23.7%에 불과하다.
임 의원실 관계자는 "잔재물 처리 속도가 너무 느려, 내년 말까지 잔재물을 전부 처리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말 환경부는 석포제련소에 통합환경허가를 내주면서 2025년 말까지 제련 잔재물을 모두 처리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를 이행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석포제련소는 이달 초 대구지방환경청 수시 점검 때 황산가스 감지기를 끄고 조업을 한 사실이 적발돼 60일 조업 정지에 이어 추가로 제대를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석포제련소에 대한 환경 오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영풍은 석포제련소의 환경 오염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환경 개선 사업에 7000억 원 투자하고 있다'는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숫자를 들며 억울함을 호소한다"며 "어떤 과정을 통해 환경 개선 사업비를 7000억원으로 책정했는지, 매년 어디에 쓰고 있는지, 그 효과는 무엇인지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신한은행, 캥거루본드 4억달러 발행 성공
2셀리드, 두경부암 면역치료백신 1·2a상 IND 승인
3제주항공, 국가유공자 등 신분할인 대상자 탑승 절차 간소화
4현대차·기아, 美 제이디파워 ‘2025 잔존가치상’ 2개 부문 수상
5영풍, 경영정상화 의문…‘매년 1000억’ 환경개선 투자금 어디로
6서울시, 신규 고액 상습 체납자 1599명 공개…평균 5600만원
7배민, 대학 밀키트 사업 지원…지역 인재 양성 기대
8기업 밸류업 펀드 투자개시…“3000억 규모 추가 조성”
9젊을 때 건강 챙겨야...30대 ‘이것’ 소비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