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회복 어렵고 수출 증가세 둔화”...현대硏, 내년 韓 성장률 1.7%
국내외 주요 기관 전망치 중 가장 낮은 수준
소비·투자 등 주요 경제 지표 위축 신호 뚜렷

현대경제연구원은 8일 내년도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이들이 전망한 내년도 한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1.7%다. 이는 기존 2.2%에서 0.5%포인트(p) 낮아진 것이다. 현재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나온 내년 성장률 전망치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앞서 한국은행,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내년도 우리나라 GDP 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우리나라 성장률을 2.0%로 제시했다. 최근 씨티·JP모건·노무라·바클리 등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8곳이 제시한 내년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8%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 경제는 내수 경기의 지속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성장세가 약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소비·설비투자·고용 등 주요 경제 지표에서 위축 신호가 뚜렷하다. 내년 성장률은 잠재성장률(2%)을 하회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현대경제연구원은 반도체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전체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수출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글로벌 통상 환경과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 중국 경제 부진 등 외부 요인도 수출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크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금리 하락과 가계 가처분소득 증가 등으로 민간소비가 소폭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나 고용 환경이나 불안정한 자산 시장 등이 회복을 제한할 것이라고도 예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또 설비투자 등의 경우 금리 하락과 정부 정책 지원에도 여전히 낮은 성장세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웃는 꽃’ 신고 걷는다”…CJ온스타일, 무라카미 다카시 슈즈 국내 론칭
2“모든 가능성을 기회로”...석화시장 새 판 짜는 ‘금호석유화학’
3롯데免, 부산관광공사와 MOU...지역 관광 활성화 앞장
4현대차·기아·제네시스, ‘서울모빌리티쇼’ 총력전...친환경 車 전력투구
5삼성, 갑작스러운 DX 리더 부재...MX사업부 갤럭시 신화 주역들로 채웠다
6제주항공, 신입·경력 정비사 공개채용 실시
7은행권, 사업자대출 금리 깎아준다…소상공인 ‘재기’ 초점
8KGM, 체리자동차와 ‘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 맞손
9BNK자산운용, 성경식 대표이사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