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美, 금리 0.25%p 또 인하…내년엔 속도 조절 시사

내년 금리 인하 전망 4차례 → 2차례 조정
한국과 미국 금리차 1.50%포인트로 줄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 워싱턴 EPA=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9월과 11월에 이어 18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다시 인하했다. 다만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4차례 정도로 봤던 지난 9월과 달리 이번에는 두 차례 정도만 내릴 것으로 전망하는 등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25%포인트 낮은 4.25~4.50%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준 금리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 2022년 3월부터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린 이후 최고치(5.5%·2023년 7월~2024년 9월)였던 것보다 1%포인트 낮아지게 됐다.

연준은 지난 9월 '빅컷(0.5%포인트)'을 단행한 데 이어 11월에도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연준은 성명에서 "올해 초부터 노동 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되었고 실업률은 상승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낮다"면서 "인플레이션은 위원회의 목표치인 2%를 향한 진전을 이뤘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금리 인하 결정 과정에 투표권을 가진 12명 위원 중 베스 해맥 클리브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동결을 주장하면서 반대했다.

연준은 경제전망예측(SEP)을 통해 내년 말 기준 금리(중간값)를 기존 9월 전망치(3.4%)보다 0.5%포인트 높은 3.9%로 제시했다. 연준이 0.25%씩 금리 인하를 할 경우 9월 기준으로는 내년에 4차례 인하가 예상됐으나 이번에는 2차례로 횟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연준은 2026년 말의 기준금리는 3.4%(9월 2.9%)로, 2027년 말은 3.1%(9월 2.9%)로 예상하며 9월보다 각각 상향했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를 보면 19명의 위원 중 10명이 내년 금리를 3.75~4.0%로 전망했다. 4명은 4.0% 이상으로 전망했으며 나머지 5명은 3.5% 이하로 봤다.

연준의 다음 회의는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한 뒤인 내년 1월 28~29일이다.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로 한국(3.0%)과 미국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기존 1.75%포인트에서 1.5%포인트로 다시 줄어들게 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

2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3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4“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5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6간암 신약 '삼수' 도전하는 HLB...진양곤 회장 "반드시 허가받겠다"

7삼성, 자체적으로 인증한 '중고 갤럭시' 판다...가격은?

8머스크 “한국, 3세대 지나면 인구 4% 수준…돌이킬 수 없어”

9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부동산 중개보수·이사비 40만원 지원한다

실시간 뉴스

1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

2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3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4“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5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