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원달러, 금융위기 15년만에 1450원 마감...역대 3번째

97년 외환위기, 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어 3번째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코스피, 코스닥 지수 및 환율 등이 표시돼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미 연방준비제도가 3회 연속 금리인하를 단행하면서도 향후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하자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했다. 환율이 1450원 넘은 것은 1997년 외환위기(1962.5원),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1570.7원)에 이어 3번째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6.30원(1.14%) 상승한 1451.80원에 거래를 마쳤다. 비상계엄과 탄핵 등 국내 펀더맨탈이 약화됐고, 경제성장 관망세가 짙어진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의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위원회)에 영향을 받았다. 연준은 17일~18일(현지시각)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25%포인트 낮춘 4.25~4.5%로 결정했다. 다만 점도표에서는 경제성장률 호조세를 기반으로 내년 금리 인하 속도조절이 시사됐다.

이에 외환당국은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를 예고했다.

이날 오전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는 외환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지만, 한 방향으로의 지나친 쏠림 현상은 향후 반대 방향으로 큰 폭의 반작용을 수반한다는 내용이 오가면서 적극적인 시장안정화 조치를 시사했다.

한편 노무라증권은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내년 5월까지 한국의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등 대외 환경 변화를 꼽았다. 또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대응 여력 부족 등의 근거다.

노무라증권은 "내년 초 미국 공화당 정부(트럼프 대통령) 출범 이후 시장이 관세 및 경기부양책 가능성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미국 금리 상승 및 강달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빗 리서치센터, ‘Market Maker, 시장 유동성의 열쇠’ 보고서 발간

2골드만삭스 "美 관세 일시적 전망…4일 부과 직전 타협 가능성"

3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상향…2금융권으로 자금 움직일까

4중도상환수수료 절반으로 ‘뚝’…은행에 미칠 영향은?

5프로 ‘N잡러’로 살아남는 법

6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7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8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9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실시간 뉴스

1코빗 리서치센터, ‘Market Maker, 시장 유동성의 열쇠’ 보고서 발간

2골드만삭스 "美 관세 일시적 전망…4일 부과 직전 타협 가능성"

3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상향…2금융권으로 자금 움직일까

4중도상환수수료 절반으로 ‘뚝’…은행에 미칠 영향은?

5프로 ‘N잡러’로 살아남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