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환율 폭등에도 늘었다...12월 외환보유액 '4156억달러'

3개월 만 반등 성공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엔화와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했음에도 외환보유액은 오히려 소폭 늘었다. 지나친 시장개입보다 적정선을 지키면서 변동성을 조절했고, 국제결제은행(BIS)비율을 맞추기 위해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에 맡기는 외화예수금이 늘어난 것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2월 말 외환보유액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말 외환보유액은 4156억 달러(약 611조 2644억 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4153억 9000만 달러에서 2억 1000만 달러 증가했다. 항목별로 보면 유가증권이 3666억 7000만 달러로 한달 전보다 57억 2000만 달러 감소했지만 예치금이 191억 3000만 달러에서 252억 2000만 달러로 60억 9000만 달러 증가하면서 전체 외환보유액이 증가했다.

외환시장에서는 지난달 이후 외환보유액이 급감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조성됐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시점과 맞물려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 외환시장 역사상 3번째로 높은 고환율 정국을 맞이했지만, 관련당국은 적극적인 개입 대신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목적의 미세조정으로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9월 이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게 됐다. 지난해 10~11월 외환보유액은 강달러 현상 등으로 인해 2개월 연달아 줄어든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

실시간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