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허덕이는 5060 자영업자...다중채무자만 96만명
1년 새 고령층에서만 대출 규모 23조 급증
개인사업자 대출 1125조...내수 침체 부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개인사업자는 336만8133명이다. 이들이 빌린 대출잔액은 1125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은 개인사업자대출과 가계대출을 모두 합친 금액이다.
자영업자 대출의 상당 부분은 고령층이 지고 있었다. 경기 위축으로 고령층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도 늘었다. 우선 빚을 진 50대와 60대 개인사업자는 203만2393명이었다. 50대가 빌린 돈은 366조3836억원으로 32.6%를, 60대 이상은 370조9036억원으로 33.0%를 차지했다.
빚을 진 60대 이상의 대출 잔액은 2023년 말 348조369억원에서 1년 만에 6.6%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층의 대출 증가율은 0.2%에 그쳤다. 50대가 빌린 돈도 366조3836억원(32.6%), 60대 이상은 370조9036억원(33.0%)으로 나타났다.
이중 60대 이상의 대출 잔액은 2023년 12월 말 기준 348조369억원에서 1년여 만에 6.6%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층의 대출 증가율은 0.2%에 그쳤다. 중장년층이 재취업 등 재기 기회가 적고, 탄핵 정국으로 내수 부진의 직격탄을 맞고 있어 이들의 빚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무 불이행 위험이 높은 고령층 다중채무자도 증가세다. 다중채무자는 3곳 이상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사람을 말한다. 50대와 60대 개인사업자 중 다중채무자는 전체의 절반가량인 95만7971명으로 조사됐다.
이를 고려해 정부에 빚을 진 고령층 자영업자를 위한 채무조정과 재취업 교육 등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금융위)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을 기존 30조원에서 40조원 이상으로 늘리는 등 자영업자 재기를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이 의원은 "경기 위축으로 자영업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특히 노년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자영업 지원책과 더불어 서민금융 지원책 등 금융 안전망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정부,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회의 개최
2한국 25%·일본 24%·중국 34%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발표
3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4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5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6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7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8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9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