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부담되도 지금 사자” 내 집 마련, 30대가 가장 많았다

기존 구매층 40대 최다

 서울 시내의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지난해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 주요 구매층이 40대에서 30대로 옮겨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정책대출을 활용해 조기 매수하려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30~39세가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을 매수한 이후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한 건수는 총 28만8894건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40~49세(28만7385건)가 뒤를 이었다. 이어 50~59세(22만9641건), 60~69세(13만866건), 19~29세 (4만9528건), 70세 이상(4만7148건), 0~18세(439건) 순이었다.

지난 2023년도에는 40대가 가장 많았지만 1년새 분위기가 바뀐 것이다. 지난해 초 부동산 시장이 고금리 여파로 가격조정이 이뤄졌고, 하반기 이후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생애 첫 주택을 위한 정책대출과 저가매물을 활용한 유입세가 많아진 탓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최근 전국 집값이 조정기를 거치면서 예비수요자들 사이에서도 되도록이면 쌀때 미리 사두자 하는 심리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규제가 강화됐음에도 매수연령이 낮아진 것은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 확대 및 저리 정책대출 지원이 주요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2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3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4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5“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

6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출시...가격 99만원부터

7올해 가상자산 포인트는 ‘기관 투자자’...코빗 리서치센터

8‘200번째 LNG선’ 인도한 한화오션...세계 최초 기록 달성

9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실시간 뉴스

1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2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3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4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5“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