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세보증 피해 사고금액 4조5천억원 달해…역대 최고
전년대비 3.6% 증가

16일 HUG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액은 4조4896억원, 사고 건수는 2만941건이다.
지난해 전세보증 사고액은 전년의 4조3347억원보다 1549억원(3.6%) 증가했다.
보증사고 규모는 2021년 5790억원, 2022년 1조1726억원에서 2023년부터는 4조원대로 급격히 늘었다.
집값과 전셋값이 고점이었던 2021년 전후로 맺어진 전세계약 만기가 돌아온 상황에서 전셋값이 하락하자, 빌라 갭투자를 한 집주인들이 대거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벌어진 일이다.
부동산가격 급등기 전세계약이 차차 끝나면서 월별 전세보증 사고 규모는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8월 3496억원에서 9월 3064억원, 10월 2913억원, 11월 2298억원으로 감소했다. 12월 사고액은 2309억원이다.
전세 보증사고를 당한 세입자에게 지난해 HUG가 내어준 돈(대위변제액)은 3조9948억원으로 역시 역대 최고치다.
전년(3조5545억원)보다 4403억원(12.4%) 늘었다.
HUG가 대신 갚은 돈을 집주인에게 받아내는 데까지 길면 2∼3년이 소요되며, 그동안 못 받은 돈은 손실로 돌아온다.
전세사고가 급증하자 공기업인 HUG 영업손실은 2023년 3조9962억원에 달했고, 올해 손실 역시 4조원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HUG가 전세·임대보증은 물론 분양,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주택건설 등에 각종 보증을 공급하려면 영업손실 탓에 깎인 자본금을 정부가 확충해줘야 한다.
정부가 HUG에 출자한 금액은 2021년부터 4년간 5조4739억원에 이른다.
정부는 올해 부동산·건설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HUG 자본을 확충, 30조원 이상의 공적 보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2“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3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4“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5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6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7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8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9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