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고용부 “청년 고용률 개선됐다”라지만...취준생 “체감 안 돼”
- 대기업서 신입 채용 줄어

16일 고용노동부는 '2024년 고용동향 설명회'를 열고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과 관련한 고용동향의 특징 등을 설명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작년 연간 기준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5만9000명(0.6%)이다. 2020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적었다. 또 작년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5만2000명(0.2%)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2021년 2월 이후 46개월 만이다.
이에 대해 고용부는 작년 고용률은 62.7%로,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청년 고용률은 46.1%로 역대 3위에 해당한다.
다만 고용부는 이런 지표에도 청년들이 체감하는 고용 상황은 녹록지 않다고 밝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 격차 심화로 대기업 취업 희망 청년 비율이 높아졌지만, 정작 대기업들이 신입을 뽑는 공개채용 대신 경력직 위주의 수시 채용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대 취업준비생 A씨는 "채용공고 사이트들을 살펴보면 원하는 직무는 경력직만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에서 신입을 채용하지 않다 보니 중소기업으로 입사해 직무경험을 쌓으려는 추세"라고 답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생후 2개월 아들 때려죽인 父…신생아 딸도 버렸다[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ML 28승 투수, 포수·투수 코치 '어깨빵'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만만치 않은 협상가들"…미중 고위급 협상 이끈 키맨들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대출·코어 이어 '밸류애드' 자금 푸는 국민연금…국내 부동산시장 볕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엘에스바이오·킵스파마 上…다가오는 여름에 비만약 관심 ↑[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