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종 수당 지급 일자 연기 혹은 미지급(37.3%)’ 1위…임금 문제 겪은 알바생 절반, 대응 포기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거나 현재 근무 중인 알바생 2,457명 대상 조사 결과 2명 중 1명(48.0%)이 아르바이트 근무 중 혹은 퇴사 후 임금 관련 문제를 겪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주휴수당 등 각종 수당 지급 일자 연기 혹은 미지급(37.3%,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전체 임금 지급 일자 연기 혹은 미지급(32.8%) ▲약속한 임금보다 적은 임금 지급(23.9%) ▲최저임금 위반(22.6%) ▲퇴직금 지급 일자 연기 혹은 미지급(14.5%) 순이다.
정상 지급받지 못한 임금은 절반 가량이 ‘30만원 미만(10만원 미만 25.0%, 1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 26.5%)’ 규모였으며, ‘500만원 이상(2.6%)’을 받지 못했단 답변도 있었다.
이들은 임금체불 문제의 발생 원인으로 ‘체불 사업주에 대한 처벌이 제대로 되지 않는 점(50.6%, 복수응답)’을 지적했다. 이어 ▲고용주의 재정적 문제(45.2%) ▲관련 정책 미비(30.1%) ▲전반적인 경기 악화(17.8%)에 대한 의견도 집계됐다.
임금 문제 발생 시 관련 대응을 시도한 알바생의 비율은 51.2%로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이다. 대응에 나선 알바생들은 ‘고용주와 직접 협의(56.6%,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용노동부 민원, 피해·권리 구제 신청(39.4%) ▲부모님, 친구, 지인 등에게 도움 요청(12.6%) ▲알바 상급자, 동료 등에게 도움 요청(11.8%) ▲근무 중단(10.6%) ▲노무·법무 상담 등이 뒤따랐다.
반면, 대응을 하지 못한 이들은 ‘대응하더라도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할 것(41.8%, 복수응답)’이란 생각 때문에 포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겠어서(38.5%) ▲오히려 불이익을 받을 것 같아서(37.3%) ▲대응 절차가 복잡해서(32.8%) 등의 답변도 상당 수를 차지했다.
대응을 하지 못한 알바생 중 대부분(84.2%)은 여전히 임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대응을 한 알바생의 16.1%도 아직 정상 임금을 모두 지급받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알바천국은 최근 2024년 2차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공개한 바 있다. 알바천국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내 공지사항과 ‘알바스토리>알바케어>임금체불 사업주’ 페이지에서는 2024년 2차 명단공개 대상자인 94명을 포함해 총 814건의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알바천국은 대한법률구조공단과 함께 ‘임금체불 신고센터’를 운영하며 알바생들의 임금체불 관련 무료 법률 상담 및 소송을 지원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필요한 조처할 것" 보복 시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