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은 “기준금리 0.25%p 오르면 집값 최대 0.4% 낮아진다”

'한국형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개발' 결과

사진은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주택과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리면 집값이 0.4% 정도 낮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은이 3일 발표한 ‘한국형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개발 결과’에 따르면 한은은 최근 국내외 금융·경제 여건을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거시경제 분석·전망 모형(BOK-LOOK)을 완성했다.

이번 모형 개발 프로젝트는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과의 연계성을 키우라”는 이창용 총재의 지시에 따라 2023년 하반기 시작돼 약 1년 반 동안 추진됐다.

새 모형은 우리나라의 ‘소규모 개방경제’ 특성을 반영해 대외 교역권을 미국·중국·유로·신흥 아시아·일본 등으로 세분하고, 각 교역권의 경제 충격이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위기 이후 대내외 장기금리 동조화 경향이 강해진 점도 반영해 미국 장기 금리 변화가 국내 시장금리, 거시경제, 통화정책에 미치는 파급 효과 분석도 강화했다. 주택가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등 금융 부문의 데이터도 중요한 변수로 반영했다.

이 모형을 통해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는 경우 거시경제·금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비용 증가와 함께 소비·투자가 위축되면서 GDP갭(실질GDP-잠재GDP)이 최대 0.07%p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은 시차를 두고 최대 0.05%p 낮아지고, 주택 가격도 많게는 0.4%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가계부채도 5조1000억원가량 줄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최대 0.3%p 하락한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정승렬 한은 경제모형실 거시모형팀 과장은 “기준금리가 반대로 0.25%p 내리면 비슷한 정도로 반대 방향의 효과가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경제 모형의 개선·보완 작업을 통해 전망 시스템의의 고도화, 통화정책체계 선진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2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

3“금값 오르고, 비트코인은 뚝”...‘관세 전쟁’ 개막에 금융시장 출렁

4한남더힐 109억·타워팰리스 73억...불경기에도 ‘서울 대형 아파트’ 고공행진

5"샘 올트먼 나올까?"...카카오, AI 사업 방향 발표 앞서 기대감↑

6CJ제일제당 ‘1분링’, 출시 1년 만에 700만봉 팔려

7아이센스, 혈당측정기 '케어센스 에어' 국내 허가 변경 승인

8IPO 시장 옥석가리기 본격화…LG CNS ‘긴장’

9루닛, 미국면역항암학회와 협력...AI 연구 지원

실시간 뉴스

1"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2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

3“금값 오르고, 비트코인은 뚝”...‘관세 전쟁’ 개막에 금융시장 출렁

4한남더힐 109억·타워팰리스 73억...불경기에도 ‘서울 대형 아파트’ 고공행진

5"샘 올트먼 나올까?"...카카오, AI 사업 방향 발표 앞서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