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뉴욕증시, 멕시코 관세 유예 소식에 낙폭 축소…나스닥 1.2%↓

다우 0.28%↓·S&P 500 0.76%↓

뉴욕증권거래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뉴욕증시가 멕시코에 대한 관세 유예 소식에 낙폭을 크게 줄인 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2.75p(-0.28%) 내린 44,421.9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96p(-0.76%) 내린 5,994.5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35.49p(-1.20%) 떨어진 19,391.96에 각각 마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주말 휴장기간인 지난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관세' 강행이 전방위적인 관세전쟁을 촉발하고 물가 상승 및 경기 위축을 초래할 것이란 우려에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회피 심리를 불러일으켰고, 다우지수는 개장 초 한때 낙폭을 1.5%까지 키웠고, 나스닥 지수는 하락 폭이 한때 2.5%에 달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멕시코를 상대로 한 미국의 관세 부과가 한 달간 유예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우 지수가 장 중 한때 전 거래일 대비 오름세로 전환하는 등 지수가 관세 정책 소식에 따라 출렁이는 '롤러코스터 장세'가 펼쳐졌다.

포드는 이날 개장 초 5% 급락했다가 멕시코 관세 유예 소식에 낙폭을 1.9%로 줄인 채 마감했다.

반면 테슬라(-5.2%)와 애플(-3.4%)은 정책 불확실성 지속에 이날 장 마감까지 낙폭이 컸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 탓에 한동안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BMO 패밀리 오피스의 캐럴 슐라이프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는 여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관세를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진지하게 견지해왔다"며 "관세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단기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일보다 235.49p(-1.20%) 떨어진 19,391.96에 각각 마감했다.

국제유가도 이날 관세 조치 여파로 출렁였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은 종가는 배럴당 72.53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63센트(0.87%) 상승했다.

WTI 선물은 이날 배럴당 75달러선까지 올랐다가 멕시코 관세 유예 소식에 상승 폭을 반납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2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32월 '트리플 증가'에도 웃지 못한 韓 경제, 왜?

4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종가 1472.9원

5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

6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7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8“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9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실시간 뉴스

1'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2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32월 '트리플 증가'에도 웃지 못한 韓 경제, 왜?

4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종가 1472.9원

5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