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추가 관세 예고에도 강세 마감…나스닥 1%↑
철강·알루미늄 업종 강세
![](/data/ecn/image/2025/02/11/ecn20250211000008.500x.0.jpg)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7.01p(0.38%) 오른 44,470.4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45p(0.67%) 상승한 6,066.4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0.87p(0.98%) 오른 19,714.27에 각각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뉴올리언스행 전용기(에어포스원)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또 상호관세 방침도 11일 또는 12일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예고에 이날 미국 철강·알루미늄 업종은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
미국 철강 기업인 클리블랜드-클리프스가 이날 18% 급등했고, 다른 미 철강사인 뉴코어는 5.6% 상승했다. US스틸도 4.8% 올랐다.
알루미늄 제조사인 알코아는 시장 점유율 상승 기대와 함께 미국 내 알루미늄 가격이 약세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병존하면서 2.2% 상승했다.
철강·알루미늄 업종이 미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 가운데 이날 반도체 업종 등 대형 기술주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촉발했던 충격에서 벗어나며 이날 강세 분위기를 주도했다.
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이날 2.9% 상승했고, 브로드컴(4.5%), 마이크론(3.9%) 등 다른 반도체 종목들도 강세를 보였다.
구글의 AI 개발을 주도하는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AI 국제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 인터뷰에서 딥시크에 대해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없으며 딥시크 열풍이 약간 과장됐다고 평가했다.
얀 르쿤 메타 부사장 겸 AI 수석과학자도 10일 프랑스 언론 인터뷰에서 딥시크에 대해 허사비스 CEO와 비슷한 의견을 냈다.
JP모건의 파비오 바시 크로스애셋전략 수석은 이날 투자자 노트에서 "딥시크를 둘러싸고 나타난 시장 변동성과 관세에 관한 우려는 미국 내 위험자산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을 변화시키지 않는다"라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국투자이민 해외이주예정자 송금, 한국은행 신고 필수로…10일부터 개정 규정 시행
2현대힘스, 조선업 활황으로 역대 최대 실적…영업이익 49%↑
3 국토교통부도 권하는데...‘피로위험관리시스템’ 도입 국내 항공사, 단 ‘한 곳’도 없다
4맞벌이부부 육아휴직 합산 최대 3년...23일 시행
5부자아빠 기요사키 “올해 경제는 사상 최악의 대공황, 비트코인 투자가 필수”
6미래에셋증권, 증권업 최초 퇴직연금 자산 30조원 달성
7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복직 3일차부터 짜증...마지막 아이 노렸다"
84월부터 90세도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
9KB금융 경영진, 자사주 2만주 매입…기업가치 제고 자신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