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조종사연맹 “7개 공항 둔덕 즉각 철거해야”

조종사 66.1% "즉각 철거해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경찰 과학수사대가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살피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대한민국 조종사 노동조합 연맹이 전국 7개 공항의 로컬라이저 둔덕을 즉각 철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에서 사고를 키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 공항 내 로컬라이저 둔덕 장애물 철거 작업이 미이행된 것이 골자다.

14일 조종사 노조 연맹은 "무안공항 제주항공 2216편 참사 발생 이후 한 달이 넘었음에도 아직까지 실질적인 철거작업 미이행되고 있다"며 "개선 대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으나, 대규모 인명참사가 발생한 장애물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이 누락됐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달 전국 공항 특별 안전점검을 통해 제주항공 참사가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등 7개 공항에서 9개의 콘크리트 둔덕 등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로컬라이저 시설을 확인하고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연맹은 "개선 대책에는 장애물 철거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이 누락됐으며 예산 운영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없다"고 밝혔다.

연맹은 지난달 말 조종사 14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 950명(66.1%)이 시설물의 '즉각적인 철거'를 촉구했다고 전했다.

시설물이 있는 7곳 공항은 로컬라이저가 필요한 정밀 계기접근(ILS) 착륙을 대체할 수 있는 성능 기반 항법 접근(RNAV) 절차가 운영되고 있어 일부 악기상 상황을 제외하고는 운영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연맹은 "우선 로컬라이저 장애물을 철거한 뒤 로컬라이저 안테나를 단계적 시공하는 방식을 통해 실질적인 안전 운항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항공안전혁신위 등 정부 주도의 안전 개선 협의체에 연맹이 현장 전문가로서 참석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2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3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4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5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6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7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8300만명 몰리는 여의도 벚꽃축제…尹탄핵심판 선고에 일정 연기

9서울경찰청, 통신사와 공조해 보이스피싱 막았다...첫 현장 사례 눈길

실시간 뉴스

1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2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3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4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5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