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2월 중 가계부채 관리방안 발표”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2월 중 확정·발표할 것”이라며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나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높은 경계 의식을 갖고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해달라”고 21일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하는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를 주재하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국가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80% 수준까지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른바 F4 회의로 불리는 이 만남에서 최 권한대행은 “앞으로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올해 3.8%) 범위 내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도 했다.
참석자들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2004년 이후 17년 연속 상승하고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팬데믹) 기간 급등해 2021년 말 98.7%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2022년 이후 3년 연속 하락해 90%대 초반까지 내려온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지기 직전인 2019년 기준 가계부채 비율은 89.6% 수준이었다.
다만 가계 부채 규모는 꾸준히 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3분기 말(1914조 3000억원)보다 13조원 증가한 규모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2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규모입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신용카드 결제 전 사용 금액(판매 신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