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의 새로운 시장 연다…삼성SDI, 현대차·기아 손잡고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복잡한 로봇 구조에 맞춘 배터리 개발에 집중…출력·사용시간 늘리는 데 집중
인터배터리 2025에서 로봇 시장 저변 확대 위한 공동 마케팅 나서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삼성SDI가 현대자동차·기아와 함께 고성능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에 나선다. 삼성SDI는 24일 현대자동차그룹 의왕연구소(경기 의왕시 소재)에서 현대차·기아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배터리 개발·제조 기업은 시장 규모가 큰 전기차나 휴대용 기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에 집중했다. 이런 상황 때문에 대부분의 로봇 산업군에서는 전용 배터리의 부재로 전동 공구나 경량 전기 이동수단 등에 사용하는 배터리를 탑재했다.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로봇 구조 탓에 배터리 탑재 공간이 제한적이다. 로봇의 규격에 맞춰 작은 셀을 적용하면 출력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삼성SDI는 현대차·기아와 손을 잡고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에 나선다. 로봇의 제한된 공간에 최적화할 수 있는 배터리 형태를 개발해 출력과 사용시간을 늘린다는 복안이다.
협약식에는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조한제 부사장과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삼성SDI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한 고용량 소재를 개발하고,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것을 추진한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신규 개발 배터리의 로봇 적용 평가 및 성능 고도화를 담당한다. 로봇 개발 및 운용 경험으로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배터리 최대 충·방전 성능, 사용 시간 및 보증 수명 평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현대차·기아는 삼성SDI와 로봇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한 공동 마케팅에 나선다. 그 첫 걸음으로 오는 3월에 예정된 '인터배터리 2025'의 삼성SDI 전시관에서 현대차·기아의 서비스 로봇 달이(DAL-e)와 모베드(MobED)를 전시할 예정이다. 참관객과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전시 로봇을 시연하고, 로봇용 배터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선보인다.
조한제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부사장은 "현대차∙기아와 함께 로봇 시장에서도 협력을 확대하게 되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로봇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당사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최고 품질의 제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는 "배터리 생산 역량을 보유한 삼성SDI와 함께 로봇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을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며 "로보틱스랩의 로봇 기술과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을 결합하면 장기적으로 배터리 수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시장 확대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2'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3"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4박상우 국토부 장관 “국민의 삶 흔들리지 않도록…안전 관리 최우선”
5‘관세’에다 ‘탄핵’ 변수까지...금융지주들 위기관리 대응 ‘총력’
6“우리 금쪽이는 소중하니까”...호텔 돌잔치 21% 늘었다
7깃 접은 봉황, 가라앉은 덕치(德治)
8‘지브리 프사 너무 귀여워’ 하는 순간 내 초상권 괜찮을까
9윤석열 시계, 중고시장에 쏟아진다…SNS엔 탄핵 기념 굿즈 나눔 열풍